중앙-권역-일차의료기관 연계 '국가 심뇌혈관 프로젝트'
복지부, 종합계획안 발표···'예방부터 치료까지 전주기 관리'
2018.09.04 12:24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근빈 기자] 정부가 ‘심뇌혈관질환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목표로 급성심근경색・뇌졸중, 고혈압・당뇨병, 심부전 등을 전주기적인 관점에서 관리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특히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중심의 안전망을 중앙-권역-일차지역(동네 병·의원)으로 연결짓는 체계를 구축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4일 심뇌혈관질환관리위원회를 열어 ‘제1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안’을 확정했다. 이번 종합계획은 심뇌혈관질환 분야 최초의 법정 계획으로 의미가 크다. 


심뇌혈관질환은 국내 전체 사망원인의 24.3%를 차지하고 있으며, 진료비와 사회경제적 비용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예방관리와 함께 가까운 곳에서 적정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고, 급성기 진료를 받고 나서의 후유증과 재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후관리가 주요 정책분야로 제시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바로 이러한 정책방향 하에서 5개 추진전략 및 14개 중점과제가 마련됐다.



대국민 인식개선과 건강생활 실천


먼저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예방수칙 등에 대한 중장기 홍보전략을 수립해 2014년부터 시행된 전국 캠페인을 강화한다. 학교・직장교육과 연계해 생활 속 관리가 필요한 건강 위해요인에 대한 관심을 높일 계획이다.


질환의 증상과 대처방법에 대한 정보제공을 강화하고, 심폐소생술 등 초기 대응방법 교육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시・도, 보건소)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의 협업을 강화할 방침이다.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알기 쉬운 정보를 한 곳에서 검색, 이용할 수 있는 종합포털사이트를 운영, 정보의 접근성도 높인다.


고위험군 및 선행질환 관리 강화


한국인에게 적용가능한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의 고위험군 선별기준과 선별도구・관리지침 등을 개발해 확산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동네의원 중심으로 만성질환(고혈압・당뇨병) 환자에 대한 등록・상담・교육 등 일상생활 속 생활습관 개선과 자가관리를 지원하는 체계를 탄탄히 형성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보건소를 중심으로 처음 고혈압・당뇨병을 진단받은 환자나 젊은 환자, 독거노인 등 조절이 어려운 취약환자에 대한 교육・관리 서비스 강화 모델을 개발・적용한다.


지역사회 응급대응 및 치료역량 강화


현재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중심의 안전망을 중앙-권역-일차(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로 연계되도록 안전망을 확충한다.


현재 14개의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 지정(11개소 운영 중, 3개소 운영 준비 중)된 상태이지만, 구심점 역할 및 기술지원을 위한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정・운영할 계획(’18년~, 모형개발)이다.


특히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가 예방-치료-재활의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일차(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원하도록 기능을 정비해 나갈 예정이다.


지역사회 내에서 급성심근경색・뇌졸중 등 응급상황 대처,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차(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정・운영한다.


지역센터는 진료역량, 기관규모, 지역적 격차 등을 고려해 다양한 모형으로 분화(준권역센터 , 일차센터 등)될 수 있으며, 응급의료기관 등과 연계방안을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와 일차(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에서 급성기 치료가 종료된 입원환자에 대한 조기재활서비스를 활성화한다. 2019년 조기재활 현황조사를 거쳐 표준지침 마련한 후 2020년부터 현장적용이 추진된다.


지속관리 체계 구축 및 연구개발 강화


급성심근경색증과 뇌졸중 환자의 퇴원 후 체계적인 정보제공과 상담서비스,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등 종합지원 체계를 마련한다.


또 급성기 치료를 마치고 퇴원한 환자의 기능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역사회 내 재활서비스 제공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통계와 성과지표 산출방안을 마련하고, 장단기 전략을 개발해 국가단위 통계(국가승인통계)를 산출한다.


심뇌혈관질환분야 연구개발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현재 개발된 임상진료지침 등이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이외에 전문인력 수요평가, 의료진과 환자에 대한 지원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복지부 윤태호 공공보건정책관은 “이번 종합대책은 그동안 시행됐던 다양한 사업들을 하나의 방향성에 따라 정리한 것이다. 그간 다루지 못했던 환자의 급성기 치료 이후 사후관리까지 범위를 확장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앙-권역-지역센터 안전망, 환자 지속 관리방안, 통계구축 등 새로운 과제의 구체적인 모델을 조속히 마련・시행해 이번 종합계획이 제대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