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의사회가 지진으로 피해를 겪은 병·의원들을 파악하고 있다. 지원이나 보상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지난 2월11일 경북 포항에 규모 4.6의 여진이 발생한 이후 피해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포항시에 따르면 13일 오전 기준 지진으로 인한 시설피해는 614건으로 조사됐다. 하루만에 260건이 늘어난 만큼 두 달간 신고를 받으면 피해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3일 오전 6시 30분쯤에는 규모 2.6의 지진이, 오전 10시 경에는 규모 2.2의 여진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돼 개원의들도 공포에 떨고 있다.
이에 따라 포항시의사회에서는 피해 병원들을 발 빠르게 조사하고 나섰다.
포항시의사회 우창호 회장은 “11일에 발생한 여진은 이전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규모가 큰 편이었다”라며 “내가 운영하는 병원도 벽에 금이 가고 바닥 타일이 흔들리는 피해가 있었다”라고 전했다.
그는 “여진 중에서는 규모가 큰 편이라 시설 피해를 입은 병원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며 두려움을 호소하는 회원 역시 수가 적지 않다”라고 말했다.
현재 포항시의사회는 요양병원, 종합병원 등 개원가를 비롯해 의료기관의 피해를 조사 중이다.
경상북도의사회 역시 빠른 대응을 위해 나섰다.
경상북도의사회 김재왕 회장은 “이전에 비해 규모가 더 큰 지진은 아니더라도 앞으로 이런 지진이 계속해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회원들도 불안해하고 있다”라며 “의사회 차원에서 최대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경상북도의사회는 포항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회원들에게 성금을 지원하기도 했다. 이번에는 지난번처럼 큰 규모의 지진은 아니지만 피해가 있을 것으로 예상돼 보상이나 지원과 관련해 내부 논의중이다.
"지역주민 위해 적극 대응하지만 법적 뒷받침 아쉬워"
이 외에도 경상북도의사회는 의료인으로서 회원들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경주에서 지진 피해가 발생했을 때 경상북도의사회는 정신의학과와 논의해 지진 후 외상후 증후군 진료 매뉴얼을 제작했다. 포항시에서도 1차 지진이 발생한 후 진료과를 막론하고 시내 전 의원에 배포했다.
시민들이 모여 있는 대피소는 위생 측면에서 우려되는 부분이 많아 ‘건강관리 지침’을 제작해 배부했다.
부곡정신병원과 경상북도 소재 4개 의료원은 포항 소재의 정신건강개원의협의회와 더불어 현장에 인력을 파견해 환자들의 상담을 맡았다.
이같이 빠른 대응에도 아쉬움은 남는다.
경상북도의사회 김재왕 회장은 “정책적으로 아쉬운 부분이 있다”라며 “의약분업으로 인해 지진이 갑자기 발생해도 의료인이 나서서 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 상담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시술이나 약을 처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라고 말했다.
대형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현장에서 의사들의 역할이 제한돼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그는 앞으로 긴급 재난 상황에서 인명 피해가 최소한이 되도록 의사들의 진료권을 보장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재난지역으로 선포된 곳에 한해서는 처방전과 시술이 의료보험 청구가 가능해지는 등 기존의 진료가 가능해지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라며 “응급실로 환자를 후송하는 것도 의사의 역할이지만 현장에서 진료를 해 최대한 피해를 막아야 한다. 현재로서는 법적 뒷받침이 없다는 것이 아쉽다. 경상북도와 의논해 법안 마련을 구상 중이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