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세브란스병원 의료진이 ‘좌심실 보조 장치(LVAD)’ 이식으로 1세 아이의 심장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는 기존에 LVAD 이식이 심장이식 전까지 임시로 생명을 유지하는 수단이었던 것을 넘어 심장 치료에 성공한 것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세브란스병원은 심장혈관외과 박영환·신유림 교수, 소아심장과 정조원·정세용 교수팀이 ‘확장성 심근병증’으로 입원한 영아와 여중생 두 환자에 대한 인공심장 LVAD 이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6일 밝혔다.
확장성 심근병증이란 혈액순환 저하로 폐·간·콩팥 등 각종 장기가 기능을 잃으면서 사망에 이르는 중증 심장질환으로 현재까지는 심장이식만이 유일한 치료법으로 알려졌다.
심장혈관외과 박영환 교수와 소아심장과 정조원 교수는 지난해 12월 말 호흡이 거의 없는 상태로 응급진료센터로 후송된 1세 여아 이해인(가명)에 대해 LVAD 이식술을 시행했다. 이후 해인이는 심장기능이 차츰 상승하는 등 건강을 회복했다.
박 교수는 “LVAD 이식은 심장이식 전까지 ‘생명유지 연결고리’ 역할에 그쳤으나 해인이의 경우 상실된 심장기능의 회복을 촉진시키는 등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LVAD 이식 성공 사례도 있다.
심장혈관외과 신유림 교수와 소아심장과 정세용 교수는 국내 최초로 청소년 환자에게 성인과 같이 체내에 LVAD를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덕분에 심장이식 공여자가 나타날 때까지 병원에서 지내야 하는 다른 청소년 환자와 달리 14세 최지선(가명) 양은 지난달 17일 퇴원했다.
성인 환자의 경우에는 몸 속 공간이 충분해 LVAD를 안으로 넣고, 몸 밖에 휴대폰 크기의 동력 및 조절장치를 차고 일상생활을 할 수 있으나, 소아·청소년은 몸 속 공간이 부족해 좌심실의 심장혈관(대동맥)을 몸 밖에 있는 LVAD 장치와 튜브로 연결해야 한다.
이 경우 동력과 제어장치가 달린 3단 서랍장 크기의 장비로 함께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활동이 크게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신 교수는 “최양의 체구가 작아 협소한 심장과 그 주변 장기 상이에 LVAD 기구를 삽입하기 어려웠으나, 다행히 세밀한 내부 장기 구조 분석과 수술계획으로 청소년 환자에 대한 LVAD 이식술을 성공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