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급성신장병환자 예후 예측도구 개발
서울대병원 한승석 교수팀, 新대체요법 환자 평가 제시
2020.03.23 11:24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지속성 신대체요법을 받는 급성 신장 손상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됐다.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한승석 교수팀은 23일 급성 신장 손상 환자 157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지속성 신대체요법이란 급성 신장 손상을 겪는 환자에게 24시간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투석 방법이다.
 
급성 신장 손상이 매우 심하게 발생하면 소변이 나오지 않고 혈압이 불안정하다. 이때 약물 요법으로는 환자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속성 신대체요법을 실행한다.
 
지속성 신대체요법을 받는 환자는 고위험군으로 사망률이 약 50%에 달한다. 또한 이미 상태가 많이 악화된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만큼, 사망 위험도를 정확히 예측하기가 더욱 까다롭다.
 
지금까지 중환자실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APACHE , SOFA 등을 활용해왔다. 해당 도구는 주로 중환자실 환자의 사망 위험도를 예측할 때 사용됐으나, 지속성 신대체요법을 받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기에 최적화된 도구는 아니었다.
 
연구팀은 인공지능(AI) 방법을 활용해 지속성 신대체요법을 받는 환자에 최적화된 사망 예측도구를 개발했다. 실험 결과, 새 도구는 기존에 비해 예측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곡선하면적(AUC)은 정확도를 판별할 때 흔히 사용하는 지표로, 곡선 아래 면적넓이를 말한다. 1에 가까울수록 정확도가 높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새로 개발된 예측도구 곡선하면적은 0.784, APACHE (0.611), SOFA(0.677)), MOSAIC(0.722) 등 기존 예측도구보다 높다.
 
이번 연구는 기계학습을 활용해 예측도구를 개발, 신장학에 인공지능을 접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지속성 신대체요법 관련 연구 중 인공지능을 접목한 것은 처음이다.
 
한승석 교수는 인공지능 발전은 모든 임상의학 변화와 맞물려있고, 인간의 힘만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한계를 극복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신장학에 인공지능을 접목시킬 수 있도록 계속 연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