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스마트의료 5개 주요기술 호환 플랫폼 관건
'구슬도 꿰어야 보배, 표준연계 R&D 중요'
2015.04.06 12:10 댓글쓰기

[미래의료 기획 1-중]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 스마트의료기술 전문가들은 “5개 의료기술의 ‘연결 고리’를 만드는 것이 커넥티드 헬스 실현의 첫 걸음”이라고 강조한다.


국내에서는 스마트의료기술 국가표준코디네이터를 중심으로 R&D 단계부터 국제표준과 연계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안선주 국가표준코디네이터는 “산발돼 있는 정보를 제대로 엮어야 정보가 사장되지 않고 국민 건강 및 의료 질 향상에 유용하게 쓰여질 수 있다”며 “법, 제도적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기술 간 접합 부분을 표준화하는 것이 대안”이라고 말했다.

 

5가지 기술 중 모바일헬스, PHR, EHR은 가장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모바일 기기로 측정된 개인 건강정보와 의료 수진기록이 연계돼야 개인이 정확한 정보를 토대로 질병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FHIR 등 국제 표준…모바일헬스·PHR·EHR 데이터 공유 촉진


우선 모바일헬스와 PHR·EHR과의 연계를 위해서는 파편화된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하고, R&D 시 이(異) 기종 플랫폼 간 데이터 교환 기술과, 규격 표준화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


HL7 FHIR Framework, Mobile CDA/CCD, IEEE 11073 PHD 포맷 등이 활용 가능한 표준이다. PHR과 EHR 연결 시 관건은 민감한 개인정보를 다루는 만큼 교환, 저장, 전송과정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 개인건강기록 전반에서 개인의료정보체계 기술 개발과 확산 전략이 필요한 이유다.

 

현재 일부 대형병원이나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에서 제공되고 있는 ‘단방향’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참여도를 높이는 전략도 요구된다.

안선주 스마트의료기술 코디네이터는 “컨텐츠의 흥미 요소를 강화하고, 소셜 상호작용 기술을 활용해 동일 서비스 사용자끼리 또는 의료진, 운동처방사와의 쌍방향 소통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역보건사업과 연계해 PHR R&D를 추진한다면 수도권 대형병원으로의 환자 쏠림 현상을 완화하고, 지역 내 건강광리 생태계 구축 역시 가능해진다.


이들 세 기술 간 호환은 EHR 활성화에 달려 있다. 하지만 전자의무기록의 송수신 금지와, 표준 적용에 따른 인센티브가 없어 R&D 성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진단 및 검사 결과, 처방 내용을 국제 용어 표준 및 상세임상모델(DCM)에 따라 구현해야 향후 EHR 구축 시 정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국가적 차원 R&D 지원 ‘열쇠’


기술적 성숙도가 달성된 모바일헬스·PHR·EHR과 달리 바이오헬스 R&D는 기초 연구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에 분산돼 있는 기술을 통합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연계성과 호환성을 높이는 것이 과제다.


세부 기술 중 현재 마이크로의료로봇 관련해, ISO TC184/SC2, IEC SC62A, JWG9 등에서 표준화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표준 준용 시 기존 치료법 문제점 개선이 예상된다. 스마트헬스데이터는 빅데이터 분석, 클라우드, 보안 기술 등 타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 R&D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의료기관마다 개별 질환 단위로 개발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다면 공공보건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이 용이해질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위해 해외에서 개발된 기술을 한국형 기술로 재탄생 시키거나, 각 기관 시스템 표준화에 정부 지원이 있어야 R&D가 속도를 낼 수 있다.


다른 기술군과 달리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통해 자유롭게 개발되고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 한국이 국제 표준안으로 제안한 ‘유전정보-의료정보 통합 모델’의 표준화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보안이 이슈인 만큼 오픈소스 기술들을 참고해 보안성을 강화한 의료기관용 하이브리드클라우드플랫폼기술 R&D 추진도 중요 과제로 평가되고 있다.


안선주 스마트의료기술 표준코디네이터는 “결국 R&D 로드맵 수립 목적은 5가지 기술군의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 구현에 있다"며 "로드맵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범부처 간 협력과, 제도 현실화를 위한 사회적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