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위드 코로나 실시, 중환자 급증 대비해야'
'경증→ 중증 차단·중환자 및 비코로나 중환자 등 고려'
2021.11.05 11:37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위드 코로나(with COVID19) 추진과 관련해 전문가들의 제언을 공개했다.
 
전문가들은 위드 코로나 추진 시점의 아쉬움, 경증→ 중증 악화 차단, 중환자 병상 및 비(非)코로나 중환자 고려, 중환자 전담인력 문제 등을 지적했다.
 
의협은 최근 위드 코로나 시행과 관련한 좌담회를 열고 이 같은 대비를 주문했다. 여기에는 염호기 의협 코로나19대책전문위원회 위원장, 서지영 삼성서울병원 중환자의학과 교수, 홍석경 서울아산병원 중환자 외상외과 교수 등이 참석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중환자 병상과 비코로나 중환자를 고려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대한중환자의학회 코로나19TFT이 질병관리청 데이터를 기반으로 집계한 결과 코로나19 대유행 시마다 중환자 수가 급격히 늘어났다는 것이다.
 
위드 코로나 시행으로 확진자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그만큼 중환자 수도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현재 중환자 병상 여력이 그리 많지 않다는 점 등을 들었다.
 
더욱이 비코로나 중환자 병상 축소도 문제다. 비코로나 응급환자가 병상을 구하지 못 해 사망하는 경우가 코로나19 초기에도 있었던 만큼, 이들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장기적인 측면에서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했다.
 
중환자 전담 전문 인력도 문제라고 꼬집었다. 중환자 전담의에 대한 수가가 신설되고, 상급종합병원에 중환자 전담 전문의가 있어야 한다는 기준이 생기면서 상급종합병원 진출 또는 자격을 유지하고자 전담 전문의를 만들었다. 하지만 일선에서는 해당 기준에 맞추기에만 급급할 뿐 여전히 중환자 전담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외에도 중증 코로나 환자 이송수단은 서울시와 서울대병원이 운영하는 ‘SMICU’가 유일하다는 점을 들어 중환자 이송 시스템 확대를, 중환자 병실·시설·인력 등이 충분치 않은 상황에서 진행된 위드 코로나 시점에 대한 아쉬움도 주장했다.
 
의협은 “평소 중환자를 제대로 볼 수 있는 구조와 인력 등을 갖춰놨다면 지금 위기도 수월하게 대처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정부는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동일한 인프라에서 코로나19 중환자에 대한 의무를 의료기관에 전가해서는 안 되고, 정부·국민 모두가 중환자 치료분야에 더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어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상황에 대비해 위기 상황을 슬기롭게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정부의 긴밀한 협조와 함께 정책 수립 시 전문가 의견을 경청해 달라”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