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 재개통 시술, 골든타임 지나도 효과적
분당서울대병원 김범준 교수팀, 뇌경색 환자 대상 연구
2020.08.12 09:01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골든타임이 중요한 뇌경색 치료에서 동맥 내 혈관 재개통 시술은 증상이 나타난 뒤 10일까지도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팀은 뇌경색 환자 중 동맥 내 혈관 재개통 시술을 받은 환자와 약물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신체기능장애 정도를 비교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뇌로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뇌혈관이 터져 뇌에 손상이 오고 신체적 증상을 야기하는 질환을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크게 뇌경색(허혈성 뇌졸중)과 뇌출혈(출혈성 뇌졸중)로 구분하는데, 이 중 뇌경색은 혈액 및 산소공급을 받지 못한 뇌세포가 괴사하고 죽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문제는 죽어 버린 뇌조직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다시 살릴 수가 없다는 점이다.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막힌 혈관을 열어 혈류를 공급하는 것이 뇌경색 치료의 핵심이다.
 
막힌 혈관을 열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정맥에 혈전 용해제를 투여해 혈전을 녹여내는 정맥 내 혈전 용해술이 있다.
 
하지만 이 치료법은 혈전 용해제가 혈관 속에서 작용하고 효과를 지속하는 시간이 짧아 혈전의 양이 많거나 큰 혈관이 막혀 있는 경우에는 막힌 혈관을 열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방법이 동맥으로 직접 관을 삽입해 막힌 뇌혈관을 찾고, 혈전을 제거하는 동맥 내 혈관 재개통 시술이다.
 
급성 뇌경색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증상 발현 후 6시간 내로 혈관을 재개통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부터 최근에는 16시간 혹은 24시간까지도 치료가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과들이 계속돼 도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연구팀은 뇌경색 증상 발생 이후 많은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동맥 내 혈관 재개통 시술이 효과적 일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워 연구를 진행했다.
 
우선 뇌졸중 환자 8032명의 데이터를 통해 증상이 발생한 뒤 16시간에서 최대 10일까지 경과된 후 내원한 대혈관 폐색 뇌경색 환자 150명을 대상으로 치료 예후를 분석했다.
 
연구 대상자 150명 중에서 동맥 내 혈관 재개통 시술을 받은 환자는 총 24명이었으며, 그 외 126명은 항응고제 및 항혈소판제제 등의 약물치료를 받았다.
 
그리고 치료방법에 따른 두 그룹의 예후를 확인하기 위해 신체기능장애를 평가하는 수정랭킨척도(mRS, modified Rankin Scale) 점수를 비교했다.
 
분석 결과, 혈관 재개통 치료 그룹에서는 54.1%, 그렇지 않은 그룹에서는 33.3%가 기능적인 독립성을 의미하는 mRS 0-2점 수준에 도달했다.
 
두 그룹의 기초 특성 차이를 통계적 기법으로 보정한 결과에서는 기능적 예후가 개선돼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될 확률이 혈관 재개통 치료 그룹에서 11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혈관 재개통 치료를 받은 환자는 뇌출혈 발생 위험성이 4배 높아 혈관 재개통 치료의 주요 합병증인 뇌출혈에 대한 위험성을 주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범준 교수는 동맥 내 혈관 재개통 시술은 뇌경색 치료의 골든타임이 지났다 하더라도 10일이라는 긴 기간에 걸쳐 장애예방 즉, 치료효과가 유지됐다는 사실을 확인한 연구라고 말했다.
 
이어 증상 발생 후 많은 시간이 경과했더라도 죽지 않은 뇌조직이 남아 있을 수 있고, 이를 놓치지 않고 적시에 혈전을 제거한다면 장애와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의사협회 신경학 저널(JAMA Neurology, IF 13.608) 810일자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