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효과 관심 높아지면서 뜨거운 '면역항암제'
대한암학회 김열홍 이사장 '건보체계 내 규제 불가피하다'
2018.03.22 05:08 댓글쓰기

국내외를 막론하고 최근 의료계에서 최대 화두는 단연 '면역항암' 분야다. 암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가는 획기적인 항암요법으로 평가받으며 많은 암 연구자들의 뜨거운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서도 면역항암치료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를 환자에게 적용하는 치료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대한암학회가 면역 항암치료의 트렌드와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전문가들 의견을 청취하고, 논의하는 장을 마련했다.
 
지난 16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1회 한국 면역항암 심포지엄(The 1th Korean Immuno-Oncology Symposium)에서 대한암학회 김열홍 이사장을 만나 관련 이야기를 들어봤다. 

Q. 이번 심포지엄을 개최하게 된 배경은
'면역항암'이 암 치료 분야에서 가장 화두다. 요즘은 국내에서도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이에 현장 전문가와 의견을 나누거나 외국에서 면역항암제 개발에 참여한 분들이 정보를 공유할 기회를 나눌 교류의 장이 필요하다. 그 역할을 학회가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런 찰나에 지난해 10월 면역학회와 국내 회사 관계자들이 해외 석학을 모셔올 기회가 있다고 해서 면역항암 심포지엄을 개최하기로 논의하며 본격 준비를 시작했다.
 

Q. 강연장이 꽉 찼다
처음에는 200명 정도 참여할 것이라 예상해서 회의실을 알아보다가, 참여 인원이 예상보다 많을 것으로 판단돼 롯데호텔로 장소를 결정했다. 사전신청을 받아보니 530명이 등록했다. 그런데 오늘 아침 현장등록만 200명이 넘어 추가 등록을 중단시켰다. 강연장은 물론 중개장소까지 꽉 차서 앉을 자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관심은 면역항암치료에 대한 기초 및 임상연구를 선도하고 있는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Stuart Grossman 교수, NIH의 Ronald Gress 박사, I-MAB Biopharma CEO인 Jingwu Zang, 카이스트 신의철 교수, 서울대 강창률 교수 등은 면역항암치료의 최신 연구결과와 트렌드를 소개했다. 이에 암학회 및 면역학회 회원은 물론 업체 및 연구소, 학생 등까지 이번 심포지엄에 등록했다.
 

Q. 면역항암 분야가 주목받는 이유와 발전 방향 
면역항암치료는 암 면역을 이용해 암세포를 억제하며 기존 항암치료 단점이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거의 완치에 이를 수 있지만 부작용이 적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관심이 높다. 또 면역에 대해 알면 알수록 타깃으로 삼을 수 있는 것들이 많다. 지금까지는 PD-1, PD-L1 등을 주로 이야기했지만, 이 외에도 면역에 관여하는 타깃의 종류가 무궁무진하다. 이런 타깃 물질을 갖고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는 시장이 굉장히 크다는 점도 한 몫했다.
타깃이 많이 나오면 나올수록 이들을 어떻게 조합하고 병용할지, 기존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와 다른 항암제와 어떻게 병용하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지도 의료진의 관심사다. 또한 기존 면역관문저해제인 PD-1, PD-L1 항체가 암종별로 반응률에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15% 환자에서만 최대한의 효과를 보인다. 그럼 이 환자들을 사전에 걸러내는 작업이 중요하다. 고가의 면역항암제를 100명에서 투여해 15명만 혜택을 본다면, 미리 효과를 볼 수 있는 환자를 30명으로 추려내면 비용이 70% 절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면역항암제 치료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개발도 주목받고 있다. 
 

Q. 면역항암제에 대한 기대도 높지만 우려도 공존하는데
그렇다. 일반적인 면역시스템에서 어느 한 곳을 차단하거나 너무 억제하면 도리어 다른 질환이 초래될 수 있다. 그런데 전신적인 시스템이 망가질 수 있는 부작용 이슈를 풀려면, 어떤 환자에서 그런 반응이 나타나는지 바이오마커를 찾아내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해당 바이오마커를 가진 환자들은 면역억제제 치료를 피한다든지, 치료약을 줄이거나 치료횟수를 조절하면 '우려'되는 문제들을 피할 수 있다. 
 
Q. 면역항암제 이슈 중 하나는 비싼 약가다. 최근 면역항암제 1차치료 급여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우리나라는 전국민 의료보험제도를 운영하는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면역항암제 급여화에서 앞서가고 있다. 면역항암제가 퍼스트라인(1차 치료)으로 가게 되면 환자 입장에선 일찍부터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약물치료를 받을 수 있으니 장점이다. 하지만 국가 재정적인 측면도 고려해봐야 한다. 기왕에 더 많은 환자에게 혜택이 갈 때는 앞서 말한 것처럼 좀 더 효과가 있는 환자를 골라내는 바이오마커를 개발해 환자군을 좁혀 급여화한다면 재정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번에 소개된 새로운 논문을 보면, 면역관문저해제가 잘 듣는 환자들을 골라내는 척도들이 나와 있다. 예를 들어 EGFR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들에선 면역억제제가 거의 효과가 없으며. KRAS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환자들에게는 잘 듣는다. 이런 근거들이 모이면 급여범위를 좁혀 비용을 적게 들이면서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게 갈 수 있다.
 

Q. 또 다른 급여 이슈 중 하나는 면역항암제 '허가초과(오프라벨)' 사용 범위 확대인데
암 환자 입장에서 현재 사용해볼 수 있는 약을 모두 써보고 싶다는 욕구는 이해가 된다. 그런데 국가 측면에서 보면, 보건복지부와 식약처는 전체 국민의 보건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을 맡고 있다. 원칙을 다 무너뜨리고 약을 쓰겠다고 하면 보건당국 입장에서 한정 없이 허용하기 어렵다. 복지부가 과학적 근거가 있는 선에서 오프라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으니 기다려보는 게 좋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인이 모든 위험을 안고 비용을 부담한다고 하면 막을 수는 없다. 그러나 보험체계 안에서 사용하고 싶다면 '규제'라는 제약을 받는 건 불가피하다고 본다.
 

Q. 향후 계획은.
매년 심포지엄을 개최할 계획이다. 면역학회와 함께 진행해보자는 이야기를 나눴다. 면역항암제는 새로운 영역으로, 관련 분야에 대한 수요가 창출되고 연구자들도 관심을 갖고 있기에 학회가 이런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