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 관리 '빈익빈부익부'
20세 이상 성인 2만8759명 분석, “소득 낮을수록 소홀”
2018.09.06 16:12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김진수 기자] 국내 연구팀이 6년간 ‘만성질환을 잘 관리하는 환자 비율’을 조사한 결과, 소득이 낮을수록 만성질환 관리가 상대적으로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신장내과 구호석·황수빈 교수[사진]팀은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세 이상 성인 남녀 2만8759명을 소득수준에 따라 4그룹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를 6일 공개했다.
 

연구팀은 6년간 만성질환 유병률 추이도 분석했는데 당뇨병 유병률은 2010년 10.1%에서 2015년 11.6%로 1.5% 포인트 증가세를 보인 반면 고혈압 유병률은 2010년 34.4%에서 2015년 32.6%로 1.8% 포인트 낮아졌다.
 

전체적으로 ‘만성질환을 적절히 잘 관리하는 비율’은 2010년 40.4%에서 2015년 56.7%로 16.3% 포인트 높아져 환자들이 만성질환 관리방법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좋아졌다.
 

소득에 따라 살펴봤을 때는 소득이 가장 낮은 그룹(하위 25%)에선 ‘만성질환을 잘 관리하는 비율’이 2010년 41.2%에서 2015년 54.1%로 조사됐고 소득이 가장 높은 그룹(상위 25%)은 2010년 42.4%에서 2015년 59.7%로 모든 그룹에서 높아졌다.
 

그러나 하위그룹과 상위그룹 격차는 2010년에는 1.2%P에서 2015년 5.6%P로 벌어져 하위그룹이 상위그룹 대비 만성질환 관리에 상대적으로 소홀한 것으로 분석됐다.

질환별로 살펴보면 당뇨병과 신장질환은 모두 소득이 가장 낮은 그룹이 관리를 더 잘하지 못해 6년간 추이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또한 소득이 낮을수록 만성질환에 걸릴 위험도는 1.17배 높았으며 체질량지수, 고혈압, 교육수준, 직업 종류, 나이보다 소득이 가장 강력한 위험인자로 분석됐다.
 

아울러 모든 그룹에서 만성질환자가 의료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중요한 원인으로는 경제적인 측면이 꼽혔다.
 

구호석 교수는 “하위 25% 그룹의 소득이 월 평균 150만 원 미만으로, 전체 인구 1인당 월 평균 진료비가 10만 원을 넘어섰고, 65세 이상 인구에서는 월 30만 원 이상 넘어 필수의료 이용 부담이 소득에 비해 더 늘어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만성질환 관리는 초기에 잘 하지 않으면 합병증으로 인한 전체 의료비 상승이 더 증가해 문제되는 만큼 국가적인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수빈 교수는 “빈곤할수록 건강이 나빠지고 결국 소득이 낮은 노동으로 인해 다시 빈곤하게 되는 건강 불평등의 악순환이 반복된다”며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저소득층과 취약계층에게 적극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메디슨(Medicine) 최신호 게재됐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