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아닌 침으로 고지혈증 진단 가능 센서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이수현 박사팀
2018.10.18 10:5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다영 기자] 채혈 없이 침 한방울로 콜레스테롤 농도를 분석하는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이 기술은 고지혈증 등 지질대사 이상 질환을 진단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 이수현 박사팀이 침 속에 있는 콜레스테롤의 양을 측정하는 고감도 센서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진은 콜레스테롤과 결합하는 효소를 고정한 형태의 센서를 제작했다. 콜레스테롤이 효소에 붙으면 센서의 전기신호가 변한다. 이를 통해 침 1㎖당 수 ng(나노그램) 수준의 콜레스테롤을 감지해낼 수 있다.


새 센서의 검출 민감도는 혈액을 이용하는 기존 휴대용 센서보다 1000배 정도 높다.
 

지금껏 콜레스테롤의 양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흔히 혈액을 이용해 왔지만 이 센서가 상용화되면 피를 뽑지 않고도 누구나 콜레스테롤 농도를 쉽게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이수현 박사는 "(이 센서는) 혈액 기반 진단 칩에 비해 편의성과 기술적 진보성에서 우위를 점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호르몬 및 포도당 검출 등에도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센서와 액추에이터 B: 케미컬'(Sensors and Actuators B: Chemical, 10월 15일자)에 실렸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