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중환자 치료 핵심 문제는 '병상 아닌 인력'
'정부 차원 코로나19 장기전 대비 '전담의료진' 확보 시급'
2020.08.01 06:42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한해진 기자] 코로나19 중환자 치료에 요구되는 인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최근 코로나19 국내 발생 환자가 5명에 그치는 등 소강 국면에 접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의료계에서는 앞으로 다가올 수 있는 ‘2차 웨이브’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와 함께 고령이거나 복합질환을 갖고 있는 중환자들에 대한 치료 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대한중환자의학회에 따르면, 학회는 현재 국립중앙의료원 및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등 정부와 함께 상급종합병원 등 코로나19 중환자 치료가 가능한 가용병상을 파악하는 시스템 구축을 논의 중이다.
 
지난 31일 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이상민 이사는 “학회에서 지난 3월 31일부터 자체적 네트워크 구성으로 전국 52개 병원 중환자실의 코로나19 중환자수와 가용병상수 실태를 매일 파악 중이지만 정부 차원의 현황 파악 및 대응이 필수적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곽상현 회장은 “확진자 수 증가 추세가 완화됨에 따라 병상 수가 모자란 경우는 없겠지만, 병실을 보유한 병원이라도 실제 환자를 돌볼 수 있는 여력이 있는지는 다른 문제인데 현재 이 점이 간과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코로나19 중환자가 이송될 경우 평소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의료진 외에 중환자실 근무가 가능한 의료진을 추가로 투입해야 한다. 빈 병실이 있다고 무조건 환자를 이송할 수가 없다. 때문에 실제로 환자를 받을 수 있는 가용병상의 실태를 파악하는 접근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중환자실 전담전문의 및 간호사의 경우 추가적인 교육 과정이 요구되고 업무 강도도 높아 감염병 환자 치료와 같은 긴급 상황이 장기화되면 피로 누적에 따른 탈진 등의 우려가 크다.
 
때문에 중환자실 대응 인력을 고려한 가용 병상 현황을 파악하고, 부족한 곳에 대해서는 의료진 추가 교육 등으로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편 최근 정부의 의사 증원 정책과 중환자 전담 인력 확충의 연관성을 묻는 질문에 곽상현 회장은 “학회를 대표하는 의견이 아닌 개인적인 생각을 말하자면 즉각적인 효과를 단정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
 
곽 회장은 “지금 현재도 중환자를 돌볼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이 어렵다. 의대를 졸업한 후개도 8개에 달하는 전문 과목을 익혀야 하고 세부전문의가 되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면 십 년이 넘는 시간이 소요된다”며 “당장 의대생을 늘린다고 해도 실제로 중환자 분야에 인력이 투입되고 효과가 나타나려면 상당한 기간이 필요할 것 같다”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상민 이사는 “학회에서 중환자실 근무 가능한 인력 교육에 대한 의료기관별 협조를 요청 중이나, 평상시에도 상급종합병원의 중환자실이 포화상태인 점을 고려하면 정부에서도 차후 대유행에 대비한 중환자 진료 대책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