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헬스케어 "네이버·카카오 등과 다른 '캐즐'"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플랫폼, 삶 재밌게 개선·내년 말까지 100만명 유치”
2023.09.14 15:30 댓글쓰기



14일 오전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캐즐 그랜드 오픈 미디어 데이’에서 롯데헬스케어 관계자들이 질의응답 시간을 갖고 있다. (왼쪽부터)롯데헬스케어 장석원 플랫폼사업본부장, 박원준 IT개발부문장, 우웅조 사업본부장, 이훈기 대표이사, 온택트헬스 장혁재 대표이사, 테라젠바이오 황태순 대표이사.


“네이버, 카카오 등 다수 헬스케어가 의료분야에 초점을 맞췄다면 우리는 사용자 기질에 맞춰 ‘삶’을 재밌게 개선할 수 있는 방법 제공에 집중하고자 한다.”


오늘(14일) 오전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캐즐 그랜드 오픈 미디어데이’에서 우웅조 롯데헬스케어 본부장이 캐즐과 다른 헬스케어 플랫폼의 차별점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롯데헬스케어는 이날 미디어 데이를 열고 오는 18일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는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플랫폼 ‘캐즐’을 소개했다.


롯데헬스케어는 “캐즐은 특정 질병이나 질환이 아닌 ‘일상에서 늘 함께하는 쉽고 즐거운 건강관리’를 지향한다”고 전했다. 플랫폼 이름인 캐즐도 ‘건강관리(Care)를 퍼즐(Puzzle) 맞추기처럼 즐겁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고객이 제공 동의한 건강검진 데이터, 건강 설문정보, 유전자 검사 결과와 실시간으로 직접 기록할 수 있는 운동, 식단, 섭취 영양제 등을 인공지능(AI) 알고리즘으로 통합 분석해 맞춤형 건강 정보와 쇼핑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다수 기업과 협력으로 진화하는 건강관리플랫폼


롯데헬스케어는 이를 구축하기 위해 다수 기업과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AI 알고리즘 전문 벤처기업 온택트헬스와 협업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고, 미래 건강 위험도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에게 적합한 상품을 제안하고, 향후 구매선호도나 빈도, 가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품을 추천해주는 일종의 ‘랭킹모델’ 추천 알고리즘도 개발해 선보일 예정이다.


오는 11월에는 ‘마인드카페’를 운영하는 디지털 멘탈케어 스타트업 아토머스와 협업해 캐즐 안에서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어 내년 3월에는 유전체 검사 전문기업 테라젠바이오와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유전자 특성, 의료데이터 분석,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장건강 관리까지 아우르는 맞춤형 체중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이다. 


같은 해 6월에는 비컨과 함께 두피와 피부 관리 서비스를, 11월에는 아이메디신과 뇌건강 관리 서비스를 선보인다.


이훈기 롯데헬스케어 대표이사는 “플랫폼 사업은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여러 역량을 가진 다양한 파트너들과 협력이 필수”라며 “동반성장을 기반으로 국내에 없는 헬스케어 플레이그라운드를 만드는 데 집중했다”고 밝혔다.


14일 오전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캐즐 그랜드 오픈 미디어 데이’에서 이훈기 롯데헬스케어 대표이사가 협력 기업들을 소개하고 있다.


“건강관리를 즐겁게” 동기부여할 다양한 콘텐츠 마련


캐즐 애플리케이션은 크게 ‘홈’, ‘건강 탭’, ‘쇼핑 탭’ 등 세 가지 메뉴로 구성된다.


이 중 건강 탭에서는 실제나이와 건강나이를 표시하고, 건강검진기록 등을 종합해 향후 주요 질환의 발생 위험도를 알려주는 등 내 건강데이터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추가로 유전자 검사를 받으면 이에 대한 결과도 건강 탭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캐즐은 유전체 분석 전문기업 테라젠바이오와 함께 설립한 ‘테라젠헬스’를 통해 유전자 검사 서비스 ‘프롬진(Fromgene)’을 출시한다. 


영양소, 피부, 모발, 식습관, 운동 특성 등 69개 유전자 DTC(Direct To Consumer) 검사결과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가진 유전적 장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19가지 캐릭터로 표현해 보여준다.


캐즐 홈에서는 걷기, 운동 기록하기, 복약관리 등 매일 체크하는 건강지표와 함께 가족, 친구의 건강활동을 보여줘 관리하는 습관을 형성할 수 있게 돕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동기부여를 위해 정해진 ‘미션’을 성공하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자신 뿐 아니라 가족 간에 소모 칼로리와 걸음 수, 복약 등 건강 목표를 달성했는지 서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친구 간에는 세부적인 정보 대신 ‘오늘 활동왕’을 순위별로 보여줘 경쟁을 유도한다. 


우웅조 본부장은 “건강관리에 대한 여정 자체를 어떻게 즐겁게 동기부여를 유지하느냐가 플랫폼의 성공에 굉장히 중요한 사항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전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의 화두인 개인 건강정보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캐즐의 정보보안 솔루션은 롯데그룹 ‘L.클라우드(롯데클라우드)’에 분리해 별도 관리한다.


사용자의 모든 개인정보는 미국 국가안보국에서 1급 비밀에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된 것 중 하나인 ‘AES 256’ 방식으로 암호화되며,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알고리즘보다 길이가 더 긴 암호화키를 사용한다.


박원준 롯데헬스케어 IT개발부문장은 “풀리지 않는 자물쇠와 찾을 수 없는 열쇠를 갖춘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2024년 상반기까지 ‘챗GPT’와 같은 생성형AI를 활용한 챗봇 서비스를 캐즐 안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사용자가 오늘 얼마나 운동했는지 등을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친구와 대화하는 것처럼 적어 두기만 하면 챗봇이 캐즐에 알아서 기록할 수 있다. 


우웅조 본부장은 “내년 목표는 당장의 매출보다도 가입자 100만명을 모집하는 것”이라며 “수익성은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