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근로자들은 지금 감시받고 있다?'
2003.08.01 11:27 댓글쓰기
병원 내에서 광범위하게 인터넷과 전화, CCTV 등을 통해 노동자 감시가 이뤄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예상된다.

민주노총을 비롯해 진보네트워크센터, 민변, 함께하는시민행동 등 '노동자감시 근절을 위한 연대모임'(이하 연대모임)은 지난 6∼7월간 병원 21곳 등 전국 207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노동감시 시스템 설치실태를 조사한 결과, 89.9%의 사업장에서 인터넷과 전화, CCTV 등을 통해 한가지 이상의 노동자 감시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대모임은 이번 조사에서 각 사업장에서 업무용 컴퓨터의 인터넷 이용 감시나 하드디스크 검사, 전화 송수신 기록, CCTV 설치, 전자신분증 사용, ERP 설치 관련해 이뤄지는 감시실태를 중점 조사했다.

그 결과 지방 국립대 및 사립대병원, 서울지역 대형병원 등 조사대상 21개 병원 대부분이 이들 시스템을 이용해 근로자를 감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시스템별로 감시 현황을 보면 인터넷의 경우 직원들의 홈페이지 방문기록이나 이메일 이용기록을 점검하는 병원이 38%로 집계됐다.

또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내용을 점검하는 병원이 52.4%, 전화 송·수신 기록을 점검하는 병원이 57.1%로 각각 조사됐다.

이밖에 조사대상 21개 병원 중 CCTV를 설치·운영하는 곳이 81%에 달했고, 전자신분증을 이용하는 곳도 57.1%나 됐다.

각 업종별로 감시시스템 설치 비율을 보면 기계·금속(61곳)이 93.4%, 화학·섬유(24곳)가 79.2%, 유통·숙박(22곳)이 81.8%, 금융서비스(30)가 96.7%, 그리고 보건의료(21곳)가 100%의 설치율을 보였다.

진보네트워크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노조 간부 또는 시스템 관련 직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으로, 조사 결과에 나타난 설치 비율이 실제보다 적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는 감시시스템 특성상 노동자가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그는 "모든 종류의 감시 시스템이 인사관리, 노동강도, 작업방식 및 작업태도, 고용불안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노동자의 불안도는 모든 감시 시스템에서 연령과 근속연수가 많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