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간호사·한의사 등 '업무범위 조정' 속도
김윤 의원 보건의료기본법, 보건복지위 통과···의협 "고유 전문성 훼손"
2025.01.24 06:26 댓글쓰기



사진출처 연합뉴스 

보건의료인의 업무범위를 사전에 조정하는 법안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의료법 내에서도 중첩돼 매년 법적 분쟁이 발생하던 직역 간 업무범위 문제를 해결하자는 취지이지만 직역단체 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보건의료인기본법' 일부개정안이 통과했다. 


김 의원은 "보건의료 분야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낡은 의료법 등 보건의료 관련 법률로 전문성을 갖춘 개별 인력들이 역량을 펼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보건의료인력 간 업무범위가 불분명하고, 이를 조정하고 협력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없다"며 "이에 직역 간 업무가 중첩되는 영역을 중심으로 갈등이 야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보건복지부가 지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보건의료인 간 업무범위 관련 유권해석 요청에 대해 해석 사례는 총 828건이다. 간호인력 수술보조행위 등을 무면허 의료행위로 고발하는 일도 잇따르고 있다.


이에 해당 법안은 복지부 장관 소속 '보건의료인력 업무조정위원회'를 신설, 업무범위를 업무 전문성과 환경을 고려해 해석될 수 있게 하는 게 골자다. 


위원회에는 보건의료직역과 시민대표, 전문가가 참여하며, 보건복지부 차관인 위원장 1명과 3명 이내 부위원장을 포함해 50명 이상 100명 이하로 구성한다. 


회의는 위원장, 부위원장 및 위원장이 매 회의마다 지정하는 위원을 포함해 25명 이내로 구성한다. 


복지위 전문위원실은 복지부가 그동안 '의료인 업무범위 협의체', '의료법체계연구회' 등을 운영해 왔지만 실질적 결론을 도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법안 취지에 공감했다. 


다만 전문위원실은 "모든 직종을 포함할지 여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면서 "심의안건 관련 직종 추천 위원의 포함 여부 등을 명시하지 않아 업무조정위원장의 재량사항으로 해석되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의협 "직역 고유 전문성 훼손" 반대 VS 병협·간협 "신중 검토" VS 간무협 "찬성"


직역단체 간 의견은 엇갈리는 상황이다. 대한의사협회는 "보건의료인력 업무범위를 업무조정위원회에서 심의하는 것은 직역 고유의 전문성이 훼손되거나 축소될 수 있고 비전문가 위원 구성은 전문적 의사결정 과정에 기여할 가능성이 낮다"며 반대했다.


또 "각 직역별로 자격 및 업무범위를 규정하고 있는 개별 법률이 있어 위원회 심의에 따른 잠재적 분쟁 소지가 있다"며 "복지부의 광범위한 임명권이 위원회 독립성을 해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한병원협회는 "보건의료인력 숙련도와 개별 의료기관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위원회 차원에서 업무범위의 획일적 기준을 마련하는 건 오히려 불필요한 직역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면서 신중검토 의견을 냈다.


대한간호협회(간협)도 신중검토 입장이다. 간협은 "각 직역의 업무범위 사항은 매우 민감한 사안"이라며 "해당 직역을 규정하는 개별 법률 규율에 맡기는 것이 타당하다"고 강조했다. 


대한약사회는 "보건의료 분야 전문성을 감안해 위원회 및 분과위원회에서 보건의료 전문가 중심 논의와 결정이 필요하다"면서 조건부 찬성을 표했다. 


대한응급구조사협회도 조건부 찬성하며 "응급구조사는 응급의료법에 따라 5년 마다 업무범위를 조정하고 있어 위원회 심의대상에서 제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대한간호조무사협회·대한치과의사협회·대한물리치료사협회·대한영양사협회·대한위생사협회·대한보건의료정보관리사협회·대한임상병리사협회·대한작업치료사협회 등은 찬성했다. 


정부부처 간 의견도 엇갈렸다. 복지부는 "직역 간 불필요한 갈등을 해소하려는 취지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반면 행정안전부는 "별도 위원회 설치보다는 기존의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 또는 보건의료인력정책심의위원회 분과·전문위원회 형태 활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반대했다. 



댓글 2
답변 글쓰기
0 / 2000
  • Mmmm 02.06 00:37
    정부가 의대증원 하는데 사직?휴학?으로 의료사태 키운건 의사 의대생들이란걸 국민들이 모르는줄 아나?  휴학 안했으면 7500명이 한꺼번에 공부하는일은 벌어지지 않았다? 의료대란을 키운건 의사집단인건 확실하다? 공산국가도 아니고 민주주의 나라에서 국민들을 개돼지로 불리며 하루에 몇천명씩 죽어나갔으면 좋겠다는 의사집단이다?뺑뺑이로 환자들이 죽어나가는데 받아주는 곳이 없다?

    휴학을 강요하고 생명을 살리고자 복귀한 동료들을 집단 따돌림하는 작태를 국민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모르지 않을텐데 끝까지 동맹휴학이니 뭐니하며 발악하는건 제대로 처벌을 받지 않아서다? 인간의 생명을 담보로 집단행동을 한게 한두번이냐?

    국민들이 왜 니들에게 이렇게 당해야하는데?  니들 국민들 세금 보조받고 국민들 없으면 먹고 살수 있는줄 아냐? 니들도 환자가? 국민들이 있으니 먹고사는거다? 두말할 필요없다?

    반사회적 집단은 강력처벌 해야한다?

    왜봐주냐????

    일년씩 집단행동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집단을 그냥 놔두니까 이런꼴이다? 사직처리하고 퇴학처리해라!!!  약사들 조제허용하고 간호사 한의사등 의료인력 충분히 활용할수 있는 제도 만들어라? 의사들이 왕이냐?  의사들이 신이냐? 어차피 안돌아온다자너?  과감하게 짜르고 퇴학시키고 외국 의사 들여와라? 의사 니들 국민들의 공감 못얻으면서 계속 버텨봤자 니들 인생 허비하는거다 ?
  • ㅇㅇ 01.24 20:48
    국가가 하는 일이 언제나 그렇듯 '취지'는 참 좋고 그럴듯한데, 제발 실제 현장 돌아가는 모습을 한번이라도 좀 경험해본, 아니 경험까진 바라지도 않으니 견학이라도 해본 사람들만 좀 위원으로 뽑았으면 좋겠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