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양산 지역에서 리베이트 관련 검찰 조사를 받던 개원의가 자살한 사건이 발생,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20일 양산경찰서에 따르면 이 개원의는 지난 주말 아파트에서 투신자살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 관계자는 “사실이다. 자세한 경위는 밝히기 어려우나 자살 사건으로 종결 예정”이라고 말했다.
고인은 1967년생으로 I의대 출신이다. 7년 전 부산 남구 보건소에서 진료의사로 재직할 당시 리베이트 사건에 연루돼 최근 검찰 조사를 받고 있던 중이었다.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의약품 도매상이 검찰에 제출한 USB에 해당 원장 이름이 포함돼 있었다는 전언이다.
지역의사회 관계자는 "마음이 굉장히 여린 원장으로 알고 있다"며 "당시 공무원 신분으로 처벌이 더 강하게 적용됐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확한 사실 관계는 확인해 봐야 겠지만 검찰 조사를 받으면서 받은 모욕감과 자괴감은 상상을 초월했을 것"이라며 "해당 의사를 죽음으로 몰고 간 정부는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산시의사회 양만석 회장은 "약가를 결정하는 결정권자가 복지부 공무원이다. 이를 비싸게 결정하고 그 차액을 영업비로 사용했는데 리베이트가 무슨 약가 결정에 영향을 미쳤나"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양 회장은 "약가 결정을 높게 하고 로비한 공무원들이나 제약업계 관계자들을 처벌하는 게 먼저 아닌가"라며 "무엇보다 형평성이 가장 큰 문제"라고 비판했다.
경남의사회 박양동 회장도 "안타까운 일이 벌어졌다"고 유감을 표하며 "다만, 유족들이 이 사건이 확대되는 것을 극도로 꺼리고 있어 조심스럽다"고 말을 아꼈다.
박 회장은 "필요하다면 의사회 내 대책팀을 꾸려 대응 방안을 심도있게 검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