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젊은 의사들을 격려하며 정책 역량을 높이라는 조언을 건넸다.
젊은 의사들을 수련 현장에서 떠나게 한 의대정원 확대 정책에는 반대하는 입장이지만, 그렇다면 의료계는 의사가 필요해서 벌어지고 있는 의료공백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조언이다.
이준석 후보는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젊은의사포럼'에 첫 연자로 나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이날 오전 전해진 윤석열 前 대통령의 탈당 소식을 언급하며 말문을 열었다.
"의정갈등이 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어 앞으로도 반복될 수 있다"
그는 "의료대란을 야기한 인물이 물러나고 정당과도 단절하는 상황이 발생했다"며 "고집스러운 인물 퇴진에 따라 의정갈등에 대한 정당 입장도 변해서 빨리 사태가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의정갈등이 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어 앞으로도 반복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의료 영역에서 의사 역할은 절대적이지만 국민은 의료서비스 수혜자고, 그들을 위해 정치 집단이 어떻게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끌려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의정갈등 본질"이라고 밝혔다.
이어 "의사가 집단 독과점성으로 투쟁을 해올 수 있었는데, 투쟁의 끝에는 다수의 손가락질이 따라왔다"며 "장기적 관점에서는 갈등관계가 심화되는 상황이 반복됐다"고 덧붙였다.
이에 의료인이 정책적 역량을 강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봤다.
그는 "TV를 틀면 의사가 제일 많이 나오는 것 같다. 의료인의 건강 관련 방송 영향력은 커지고 있는데 의료정책에 대해 누군가 조리있게 국민을 납득시키는 것은 미흡하다"고 진단했다.
이 후보는 "기본적으로 의대 증원 반대 입장을 취하지만, 그렇다면 의료계는 의대 증원을 하지 않아야 할 논리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가 일부 원격의료 도입이 필요하다고 보는 이유다.
"원격의료·인공지능(AI) 등 신기술 도입으로 패러다임 전환"
그는 프로그래머 출신임을 강조하며 "프로그래머는 10배, 20배 생산성 향상이 이뤄지고 있다"며 "의료에서 이미 한 환자 1명을 2~3분씩 보는 상황에서 5초에 한 번 씩 보게 되는 세상으로 발전하는 걸 지향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의사와 환자 간 직접 원격의료가 아니더라도 의료기관 간, 과별 원격협진 등은 열려야 한다. 떠밀려 하지 않고, 의료계가 먼저 정책적 역량을 통해 국민에 제시할 수도 있다"고 설득했다.
그는 또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면 오히려 의사 수가 줄어야 한다"며 "인공지능(AI) 도입을 조정해 오히려 가장 마지막까지 살아남을 수 있는 과가 바이탈, 외과 등이 아닐까"라고 전망했다.
그는 의료계의 현장 목소리에 깊게 접근하고 있다. 일례로 그는 16호 공약으로 응급의료센터의 광역화와 운영, 고용, 소송 비용의 국가책임제를 제시한 바 있다.
외상센터 한계는 집중화가 되지 못하고 각 센터별로 충분한 인력이 확보되지 않아 의료진이 떠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만들어져 있다는 판단에서다.
그는 "사람을 살릴 기회가 있을 때 살리고 싶지 않은 사람은 없다. 의료행위에 대해서는 광범위한, 또는 절대적 면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재차 의료계에 국민 설득 방안을 고민해보라고 제안했다.
그는 "저는 의사 편만 들고 있느냐는 얘기도 듣고, '의료계엄'을 터뜨리는 이들에 대한 비판도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다면 의료계 자체에서도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에 대한 고민은 꾸준히 있어야 한다"며 "인구구조, 건강보험 구조 등에서 어떤 선택을 하는지가 국민 설득에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