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 “주요 국가, 건강보험 정부 책임 강화 추세”
'프랑스 52.3%·일본 27.4%·대만 23.1% 등 지원받지만 한국 2018년 13.2% 불과'
2020.08.24 16:09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한해진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정부지원 비율 확대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하고 나섰다.
 
건강보험연구원(원장 이용갑) 재정연구센터 박경선 부연구위원은 건강보험연구원 웹진 이슈앤뷰(Issue & View)를 통해 '주요국의 건강보험 정부지원 정책이 한국의 건강보험에 주는 시사점'을 발표했다.
 
연구는 건강보험 국고지원 조항인 국민건강보험법 제108조 만료를 앞두고 프랑스, 일본, 대만, 독일 등 대표적인 사회보험방식 의료보장체계 국가의 공적 건강보험에 대한 정부지원 방식과 동향에 대해 검토했다.
 
연구에 따르면 주요 국가들은 건강보험 재원에 정부지원을 늘리는 방향으로 개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는 소득에 기반한 준조세로 비스마르크식+베버리즘의 혼합형 복지제도를 선택했으며 정부지원 비중이 52.3%로 가장 높다. 
 
일본은 노령화·조합재정 불균형을 국가와 사회연대의 공동책임으로 인식, 조합 간 이전과 국고지원을 동시에 진행하였으며, 급여 지출의 정률을 보조하고 있다.
 
대만은 국가 주도형 건강보험의 발전경로에 의해 국가가 의료보장을 위한 적극적 지원을 법제화해 보험료 수입의 최소 36%를 국고로 지원할 것을 명문화했다.
 
독일은 조합주의에서 정부개입 최소화를 선호하나, 아동·임·출산과 같은 가족정책은 예외적으로 국가의 책무임을 강조했으며 보험 외 급여에 대해 국가가 정액으로 지원하고 있다.
 
박경선 부연구위원은 “건강보험에 대한 정부 책임을 확실히 규정하고, 정부지원 관련 법률을 명확히 수정해서 재정예측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