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줄기세포 효능 증진기술 개발
이은주·김효수 교수팀, '단일세포 형태 자발 응집기술' 특허 등록
2012.08.27 11:29 댓글쓰기

국내 연구진이 고가(高價)의 활성인자나 유도체 없이 단일세포 형태의 줄기세포를 자발적으로 응집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 기술은 향후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를 비롯한 신약 파이프라인의 연구에 있어서 유효성 향상과 적응증 확대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서울대학교병원 이은주, 김효수 교수 연구팀은 보건복지부 선도형 세포치료 연구사업단의 지원 아래, 이 같은 내용의 기술을 지난 13일 특허 등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분자생물학 학회지 멀레큘러 테라피(Molecular Therapy)’()에 게재됐고, ‘인 디스 이슈(In This Issue)’ 논문에 선정됐다.

 

개발된 응집체 줄기세포는 단일세포 형태의 줄기세포들이 서로 연합해 형성된 구조체다. 단일세포 형태의 줄기세포에 비해 유효물질 분비능이 증대 되고 생체 내 생존력도 높다.

 

이후 다른 많은 연구팀에서 응집체 줄기세포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고가(高價)의 응집체를 유도하는 활성인자나 체내 이식시 이물질로 인지될 수 있는 유도체가 필요해 임상적용 뿐 아니라 상용화에도 많은 한계가 있었다.

 

이에 비해 연구팀이 개발한 방법은 외부의 유도 인자나 유도체 없이 단일세포 형태의 줄기세포가 자발적으로 응집체 형태로 유도 되는 기술이다.

 

 

상용화에 적용시 고효능의 줄기세포 치료제를 저비용으로 생산 할 수 있어 보다 많은 환자들이 현재보다는 쉽게 성체줄기세포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이 특허 기술의 치료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심혈관 질환 모델 동물을 이용, 단일세포 형태의 줄기세포와 응집체 줄기세포를 이식 후 심장 기능의 호전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응집체 줄기세포를 이식한 군에서 심벽의 약화와 심장 비대가 감소되고 심실의 박출 능력이 단일세포 형태 주입 군에 비해 25% 이상 향상됨을 확인 하였다.

 

발명자인 이은주 교수는 "세포 이식 시 발생하는 세포 사멸의 최소화가 치료 효과의 극대화로 연결 될 것으로 생각하고 이 같은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상용화에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처리 과정이 단순하면서 비용도 낮은 방법을 고안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팀은 작년 1월 메디포스트와 기술이전 계약을 맺은바 있다. 향후 이 기술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를 비롯한 신약 파이프라인의 연구에 있어서 유효성 향상과 적응증 확대 등에 활용될 계획이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