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전공의 수련 중도 포기의 악몽이 올해에도 어김없이 이어지고 있다.
대한산부인과학회는 “지난 7월 실시한 ‘전국 산부인과 전공의 수련 실태 조사’ 결과, 전공의 시작 5개월 만에 14명이 무더기로 수련을 포기했다”고 18일 밝혔다.
서울 소재 한 대학병원의 경우는 8월에도 1년차 전공의 중 3명이 추가로 수련을 포기하기도 했다.
학회 측은 “실제 한 대학병원은 8월에 1년차 전공의 3명이 수련을 추가적으로 포기했다”며 “이 같은 추세대로라면 1년 누적 중도 포기율이 연 최고치에 달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같은 산부인과 전공의 수 부족은 이번 후기모집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지난 8월 진행된 2012년 산부인과 전공의 후기 모집 결과, 총 정원 66명 중 단 2명이 지원하며 확보율이 3%에 그쳤기 때문이다.
전공의 후기 모집은 전공의 지원이 미달된 과가 연 중 하반기에 추가 모집을 실시하는 것으로, 산부인과는 매년 후기 모집 기간 중 3~7%대 등 한 자리 수 지원율을 보이고 있다.
산부인과학회는 “지난 해 후기 모집에서는 8명이 지원해 전공의 확보율 10%를 달성했으나 올해 다시 3%대로 내려갔다”며 “전체 전공의 지원율이 7년 연속 50~60% 수준”이라고 전했다.
학회는 이렇듯 지원율이 저조한 이유로 저출산 현상을 비롯 강한 육체ㆍ정신적 스트레스 및 의료소송의 위험 등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해 산부인과 4년차 전공의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도 이를 대변하고 있다.
“만약 산부인과 전공의 1년차였을 때 의료분쟁조정법의 산부인과 무과실 보상제도의 시행령이 발표됐다면 수련을 지속했을 것인가?”라는 질문에 약 44%가 “산부인과 수련 자체를 포기했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학회 신정호 사무총장은 “산부인과 전공의 지원 기피와 수련 포기는 단순히 전문의 수 감소라는 양적 변화 뿐만 아니라 수련의 질(質) 및 여성의학 발전 저하에 미치는 영향도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필수 의료인 산부인과의 위기는 결국 국가 위기 상황으로 인식돼야 한다. 국가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