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허혈성심질환 年 진료비 ‘7352억’
심평원 분석, 50대 이후 중·노년층 90% 차지
2016.09.27 12:11 댓글쓰기

허혈성 심장질환 예방 및 조기 치료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관상동맥에 문제가 발생했다면 신속한 수술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연간 소요되는 진료비는 7352억원 규모로 50대 이후 중·노년층은 특히 주의해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9월28일 ‘세계 심장의 날’을 맞이해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해 최근 5년간(2011~2015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매년 환자와 진료비는 증가하는 추세로 확인됐다.


허혈성 심장질환 진료현황 추이 (2011~2015년)
환자 수는 2011년 75만5000명에서 2015년 86만명으로, 동일기간 총 진료비는 6455억6000만원에서 2015년 7351억5000만원으로 896억원(13.9%) 늘어났다.


허혈성 심장질환자의 대부분은 50대 이상으로 집계됐다. 2011년 87.7%에서 2015년 90.9%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구체적으로 60대는 26만3988명으로 전체 환자의 29.3%를 차지했으며, 뒤를 이어 70대 26만1857명(29%), 50대 19만1516명(21.2%), 80대 이상 10만2498명(11.4%)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50대 미만 환자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음에도 중·노년층 환자가 많아짐에 따라 연평균 3.3% 증가세를 보였다. 진료비는 역시 연평균 3.3% 수준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허혈성 심장질환 중 협심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68.4%로 조사됐으며, 만성 허혈심장병(20.5%), 급성 심근경색증(10.2%)으로 확인됐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치료는 약물치료, 관상동맥우회술(CABG),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CI) 중 하나 또는 병행해 진행된다. 증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최대한 신속하게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관상동맥에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혈관으로 새로운 통로를 만들어주거나(관상동맥우회술), 카테터 및 스텐트를 이용해 막히거나 좁아진 혈관을 넓혀주는(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수술이 필요하므로 증상이 발생하면 구급차 등을 이용해 신속히 가까운 병원으로 이동해야 한다.


심평원 노태호 전문심사위원(가톨릭의대)은 “허혈성 심장질환은 진단과 치료를 소홀히 할 경우 심인성 급사로 이어질 수 있다. 흉통이나 호흡곤란 등 증상이 발생할 경우 지체없이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날씨가 추워지면 혈관이 수축돼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과격한 운동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노인의 경우 전형적인 가슴통증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