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당뇨환자가 학교 화장실서 주사 맞는 고통 없어야”
이중규 복지부 보험급여과장
2019.09.30 06:0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백성주 기자] “화장실에서 몰래 당뇨주사를 맞아야하는 등 불편함을 겪는 소아당뇨 환자가 최대 7000명 정도다. 건강보험 재정이 다소 지출되지만 당뇨를 앓고 있는 아이들이 놀림 받는 건 문제가 있다고 판단됐다. 교육상담료 등 의사들 요구는 타당성이 있는 만큼 검토하겠다.”
 

29일 이중규 보건복지부 보험급여과장[사진]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결정한 연속혈당측정기·인슐린자동주입기 급여 지원 배경 및 기대효과를 설명했다.


최근 제19차 건정심에서는 지난 2017년 11월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발표한 ‘소아당뇨 어린이 보호대책’ 후속조치로 소아당뇨 환우의 혈당관리에 사용되는 이들 기기에 대해 보험급여 신설을 결정했다.


연속혈당측정기는 피부에 체내 혈당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 실시간으로 혈당변화량을 측정해 알려주는 기기다. 인슐린자동주입기는 체외에서 속효성 인슐린을 자동적으로 주입해 혈당치를 조절한다.


소아당뇨는 혈당조절 호르몬인 인슐린의 분비에 장애가 있어 일상적으로 인슐린 주사 투약이 필요한 질환으로 1형 당뇨와 동일한 개념이다.


발생은 유전적 요인을 가진 사람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췌장 내 인슐린 분비에 장애가 생기기 때문이다. 주로 10세 전후에 발병하지만 성인기에 발생하기도 한다.


이번 논의 과정에서 환자단체 등은 제2형 당뇨병도 급여를 적용해 달라는 의견을 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는 소아당뇨에만 적용됐다.


이중규 과장은 “본래 취지가 당뇨를 앓는 아이들이 자랄 때 창피당하지 않도록 하고 어른이 돼서도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도록 돕자는 관점”이라며 “1형 당뇨에 대해 충분한 지원을 진행한 후 2형으로의 확대가 맞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급여확대는 어린 소아당뇨 환우가 겪고 있는 인슐린 주사 처치의 애로를 해소하고 학부모의 일상생활상의 불편도 덜어줄 것”이라고 기대감을 전했다.


"재정 지출되지만 아이들 놀림 등 문제, 해법 마련돼야"
당뇨 소모성재료에 기기까지 9종 급여화···"의사 교육상담료 신설, 긍정적 검토"


내년 1월부터 새롭게 건강보험 급여 대상이 되는 연속혈당측정기는 기준금액을 84만원(1년 기준), 인슐린자동주입기는 170만 원(5년 기준)으로 정했다. 환자는 기준액 또는 기준액 미만의 실구입가 중 낮은 금액의 30%만 부담하면 된다.
 
이로써 이미 지원되고 있는 혈당측정검사지, 채혈침, 인슐린주사기․주사바늘, 인슐린펌프용 주사기․주사바늘, 연속혈당측정용 전극 등 7개 당뇨소모성재료를 포함할 경우 소아당뇨 환자 1인당 연간 최대 약 420만원(급여기준금액 기준)의 경제적 부담을 낮추는 효과가 가지게 됐다.
 

급여 확대로 소아당뇨 환우에게 지원되는 급여 품목은 총 9종으로 늘어나게 되었으며, 연말까지 관련 시행규칙 및 고시 개정을 거쳐 이르면 2020년 1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인슐린자동주입기 등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확대는 환우와 환우 가족의 직접적 혜택 이외에도 환우가 원할 경우 혈당값 및 인슐린 주입 양․주기 등 데이터를 진료의사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중규 과장은 “경제적 부담 외에 환우 진단 및 처치 등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 것도 큰 의의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교육상담료에 대한 사항은 당장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검토 필요성을 인정했다. 처음 기기를 사용하는 환자는 기계 사용법을 알려줘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현장의 보상 요구가 제기됐다.


이 과장은 “아이들의 기계사용을 보통 어머니들이 많이 하는데, 교육해보면 환자 보호자는 일반 의사보다 기계에 대해 잘 알고 있어 급여만 적용되면 알아서 쓸 수 있는 수준이 된다고 기준을 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지만 소아 1형 당뇨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주로 진료하며 진료시간도 30분 이상 걸린다. 혈당측정기 등 기기 사용 설명에 대한 의사들이 요구하는 교육상담료 신설도 타당하다고 보고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