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소아청소년과 대책이 의료현장에서는 여전히 피부에 와닿지 않는다는 호소가 전해졌다.
전공의 유입을 위한 소송 위험으로부터의 보호 및 수가 가산 등 파격적인 해결책 없이 시설만 늘린다고 의료대란이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이자 국민의힘 소아청소년과 의료대란 TF 위원장인 김미애 의원은, TF 민간위원인 김유훈 고대구로병원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를 참고인으로 불러 현장 상황을 질의했다.
"고대구로병원 소아청소년과 정원 12명인데 내년에 1명일 수도"
김유훈 전공의는 “사명감도 중요하지만 수련·진료에 따른 부담이 큰 데 반해 이대목동병원 신생아중환자실 사건 등 분쟁, 소송으로부터 보호받는 안전장치가 없고 비현실적으로 낮은 수가로 인해 미래가 불확실하니 지원자가 급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나 또한 아이들이 좋아 소아청소년과에 왔지만 후배들에게는 소아청소년과를 흔쾌히 권유할 수 없는 입장이어서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김 전공의는 ‘배후진료’ 여력을 강조했다. 소아청소년과 전공의가 없으면 상급종합병원의 응급실·중환자실을 늘리고 가동해도 소아 중환자의 최종 치료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김 전공의는 “그동안 남아있던 전공의, 교수님들이 어렵게 진료를 이어나갔는데 올해 4년차 전공의마저 수련을 마치고 나가면 이를 담당할 수 있는 인력이 더 이상 없다”며 “고대구로병원은 원래 12명이던 전공의가 현재 4명만 남았고, 내년에 지원이 없다면 1명만 남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상황에서 응급실 확대, 소아암 지방거점병원 등을 만들어도 최종치료는 불가능하다. 전공의가 소아청소년과를 지원할 수 있는 선순환 환경을 조성해달라” 호소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많은 고민과 토론을 통해 내놓은 대책이지만, 현장에서 이러한 목소리가 나오는 만큼 의견을 반영해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