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근빈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올해 대규모 조직개편을 통해 기관 운영을 한 단계 성장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문재인 케어 시행과 재정 안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됐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조로의 전환이 시작된 것이다.
건보공단 이익희 기획상임이사[사진]는 22일 출입기자협의회와 만나 기관 내부 변화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 기획상임이사는 “보장성 확대 및 치매국가책임제 실현 등 국정과제를 원활히 수행하고 건보공단 현안 업무 중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부서를 신설하는 등 본부 중심의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우선 예산과 관련 법안의 체계적 추진 등 대외협력 기능 강화를 위해 기획조정실 내 ‘대외협력 전담팀’과 재정상황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재정관리실 내 ‘재정분석부’를 신설했다.
특히 보건의료계와 밀접한 위치에 있는 급여상임이사 소관에 ‘급여전략실’을 새로 마련, 적정수가 산정을 위한 원가분석 시스템 구축과 수가·약가 및 지불제도 업무를 통합 운영해서 재정의 효율적 배분을 도모한다.
의약품 등재 후 재평가 등 의약품 사후관리 강화를 위해 신설된 급여전략실내에 ‘약가제도부’도 생겼다.
치매국가책임제 실현 및 커뮤니티케어 추진 등 장기요양보험의 보장성 강화가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장기요양상임이사 소관에 ‘요양기준실’을 신설, 각 부서 기능을 조정한 상태다.
이 이사는 조직 개편을 통해 ‘건강‧장기요양업무협력단’ 단장직을 겸임하게 됐다. 이 조직은 앞서 신년사 등을 통해 김용익 이사장이 강조했던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업무를 맡게 된다.
그는 “기존 투 트랙이 구분해 운영됐던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과 관련해 서로 상충‧분절된 업무를 결합하거나 교정해야 할 부분을 발굴할 것이다. 제도 간 정합성 문제를 진단해 법적 검토 등 개선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아직 초기라 향후 어떤 방향으로 해답을 찾아낼지는 모른다. 다만, 올 상반기 내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에서 각각 발생했던, 혹은 개선돼야 할 부분을 가감 없이 확인할 것이다. 이를 통해 내부에서 바꿀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바꾸고 법 개정이 필요하다면 과감히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직+수평’ 문화 공존하는 조직
이 이사는 “조직개편을 하면서 주안점을 둔 것은 기존 수직적 조직문화에서 수평적 형태의 변화를 꾀했다는 점이다. 수직 및 수평이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매트릭스 구조로 업무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각 분야별 상임이사와 그 밑에 ‘선임실장’을 두고 긴밀한 소통이 가능한 구조의 변화를 추구했다. 선임실장은 그간 공단 조직 내에 없던 직제로 실장 중에서도 소위 ‘본부장’으로 불렸던 상급실장이다.
그는 “건보공단 내 지원부서로 분류되는 정책연구원, 정보화본부, 인재개발원을 각 사업 부서와 연결짓는 변화도 생겼다. 씨줄과 날줄로 베를 짜듯 융합된 전문조직을 만드는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본부와 지사 간 소통의 거리감을 줄이겠다는 목표도 공개했다.
사실 건보공단은 전국 시·군·구에 지사를 운영하고 있고, 직원 수도 1만5000명에 달해 기존 행정 프로세스로는 소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 이사는 “경영진과 현장 직원 간 소통의 가교 역할이 필요했고 그 역할을 소통모니터단에서 수행하게 될 것이다. 소통모니터단은 지역본부에서 각 지사를 직접 방문해 현장 직원들과 대화를 통해 주요 현안 등을 전파하고 현장의 문제점 및 불편사항 등의 의견을 수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조직 고도화 및 전문화 촉진을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문재인케어와 커뮤니티케어 등 각종 현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촘촘한 구성이 완료된 것이다. 단순히 일회성 조직개편이 아니라 추후 지속적으로 발전 가능성을 타진하며 변화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