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장병, 원하는 시간·장소에서 '진료 가능'
국방부, 의료시스템 전면 개편···민간병원 이용 절차 대폭 간소화 등
2019.07.18 19:57 댓글쓰기

<사진출처> 연합뉴스[데일리메디 박근빈 기자] 군 의료체계의 전면적 개편이 이뤄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군인도 ‘원하는 날짜에 원하는 곳에서 진료’를 볼 기회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18일 정경두 국방부 장관[사진]은 국회 국방위원장 주관으로 열린 '환자중심 군 의료시스템 개편 민관군 토론회'에 참석해 "장병들이 적시에,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은 군의 전투력 발휘를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군 병원이나 민간병원 구분 없이 장병들이 원하는 날짜에, 원하는 곳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군 복무 중 질병이나 다친 병사는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도록 지원하고 응급 후송 인력과 장비도 보강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군 의료시스템 개편 일환으로 의무후송 헬기 메디온을 배치해 응급후송 체계를 강화하려고 하는 등 일부 성과도 있었지만 앞으로 해야 할 일들이 더 많이 남아 있다는 진단이다.


정 장관은 “우리 군은 장병들이 실질적인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군 의료시스템 혁신을 '국방개혁 2.0'의 일환으로 강력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국방부는 의무후송전용헬기 전력화, 소방당국과 협업 등을 통해 응급의료 역량을 확충하는 한편 군병원과 민간병원 구분없이 원하는 날짜에 진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진료 여건 전반을 개선할 방침이다.


군 의료시스템 개혁에 따라 현재 병사가 민간병원을 이용하려면 군병원 군의관 진료와 진단서 발급이 반드시 필요했지만, 앞으로는 부대 내 군의관의 진단서 발급만으로도 가능토록 개선된다.


기존 장병들이 민간병원을 이용할 때는 간부와 동행하고 외출제도를 통해 나갔지만, 앞으로는 부대 지휘관 승인만 있으면 간부 동행 없이도 개인 외출제도를 활용해 이용이 가능하다.


'검사장비 부족'과 '군의관 경험부족' 등이 지적됐던 야전의 진료체계도 개편돼 앞으로 연대나 대대 의무실 군의관이 아닌 전문과별 의료진과 장비를 갖춘 사단 의무대에서 1차 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일반전초(GOP)나 도서지역 등 격오지를 제외한 연대나 대대 의무실은 응급구조사 등이 대기하며 응급환자 처치와 후송하는 역할에 집중하고, 환자의 1차 진료는 사단 의무대에서 실시하는 방향으로 개편해 올해 하반기부터 시범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민간 의료인력도 대거 투입된다. 국방부는 질 높은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올해 말까지 약사, 간호사,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등 군무원 886명을 채용해 군 병원과 사단의무대에 배치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이를 통해 무자격 의무병에 의한 의료보조행위도 근절한다는 구상이다.


'골든 타임' 확보를 위한 응급조치 역량도 대폭 강화된다. 국방부는 내년까지 야간과 악천후에도 운행이 가능한 '의무후송전용헬기' 8대를 전력화할 계획이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