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혈관 ‘동맥류’, 뇌동맥류 가능성 20배
아주대병원 송지혜 교수팀, 유병률 연관성 밝혀
2020.10.29 10:29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임수민 기자] 내장기관이나 상지·하지혈관 등 다른 전신 혈관에 동맥류가 있는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뇌동맥류 유병률이 20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동맥류는 뇌혈관 벽 일부가 약해져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상태로, 터지면 1/3이 사망하는 위험한 질환이지만 전조증상이 없어 컴퓨터단층촬영 혈관영상(CTA) 혹은 자기공명혈관영상(MRA) 검사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
 
아주대병원 신경외과 송지혜·임용철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환자 중 무작위로 선정된 100만명 의 데이터와 한국 질병 분류 코드를 이용해 뇌동맥류와 다른 전신질환 동맥류 환자군으로 나눠 분석했다.

다른 전신 혈관의 동맥류는 뇌동맥류와 대동맥 동맥류를 제외한 나머지 혈관들인 내장기관, 상지·하지혈관, 경동맥 등에 발생한 동맥류로 정의했다.
 
연구결과 다른 전신질환 동맥류 환자군 1017명 중 25.7%(261명)가 뇌동맥류를 동시에 동반하고 있었다.
 
반면 다른 전신혈관 동맥류가 없는 환자군 111만2639명에서는 0.6%(6780명)만이 뇌동맥류가 확인돼 대조를 이뤘다.
 
또한 성별, 나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관련 인자들을 보정해 분석한 결과 다른 전신 혈관 동맥류가 있는 환자의 경우 뇌동맥류의 유병률이 정상 인구에 비해 약 20배 정도 더 높았다.
 
다른 전신혈관 동맥류 환자군에서 뇌동맥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이상지질혈증이 있는 경우는 약 8배, 고혈압이 있는 경우 6배, 당뇨가 있는 경우 3배 정도 더 높았다.
 
연구팀은 “동맥류가 서로 위치는 다르지만 2곳 이상에서 나타나는 것은 서로 공통된 위험에 노출돼 있고, 병태생리를 공유하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연구는 세계 최초로 다른 전신 혈관 동맥류와 뇌동맥류 유병률 연관성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다른 전신 혈관의 동맥률의 유병률이 낮은 이유로 뇌동맥류와의 연관성은 밝혀진 바 없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뇌졸중 분야 세계적 권위지 스트로크(Stroke)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