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콩팥환자, 심방세동 부정맥 발생 위험 3배 ↑'
서울대병원 허남주 교수팀, 美 연구진과 608명 1년 공동연구
2020.10.25 16:27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신장질환과 당뇨가 있는 사람은 심방세동 부정맥이 생길 위험이 3배 정도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신장내과 허남주 교수와 미국 스크립스 중개과학연구소 스타인허블 교수 연구팀은 최근 당뇨환자 608명을 1년 간 추적 관찰한 결과, 만성신장질환과 심방세동 부정맥의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심방세동은 심장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지거나 불규칙하게 뛰는 상태로 뇌경색, 심부전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심각한 부정맥 중 하나다.


연구팀은 608명의 당뇨환자에게 심전도 패치를 가슴에 붙이고 2주간 모니터링을 2회 시행한 후, 1년 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19명에게서 심방세동이 새로 발생했다.


특히 만성 신장질환이 심방세동을 증가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해 만성 신장질환 유‧무군으로 나눠 비교했다.


만성 신장질환을 가진 연구대상자 96명 중 7명(7.3%)에서, 신장질환이 없는 연구대상자 512명 중 12명(2.3%)에게서 심방세동이 발생했다.


만성 신장질환이 있는 경우는 심방세동 발생 위험이 3.1배나 높았다. 다른 위험인자인 나이, 성별, 고혈압 여부를 교정하더라도 만성 신장질환이 심방세동 위험을 의미있게 증가시켰다.


심방세동이 발생한 19명 환자 중 2명에서만 아주 경미한 증상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만성신장질환이 있는 당뇨환자에서는 심방세동 발생 확인을 위해 평소 적극적인 심전도 검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전했다.


허남주 교수는 “당뇨나 신장질환 환자와 같이 부정맥 위험이 높은 사람에서는 증상이 없다 하더라도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심전도를 확인해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Cardiovascular Diabetology’ 저널 최근호에 소개됐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