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료 문제는 정부 재정 정책적인 부분과 인구 부족 등 개인의 문제가 합쳐 발생한다. 결국 취약지 중환자실, 응급실 운영을 위해선 중증도 따른 지역 내 전원 시스템 구축 등 인프라 및 인력적 한계를 극복한 IT 기술 활용 등 접근이 필요하다.”
조유환 분당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3일 열린 원격 중환자실 확대 방안 마련 공청회에서 ‘취약지역 필수의료 : 중환자실과 응급실의 의료격차 대안모색’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조유환 교수는 서울이 아닌 취약지역에서의 필수의료 격차가 발생하는 이유와 이들 지역에서 중환자실, 응급실 운영 방향을 제언했다.
조 교수는 “필수의료 지역격차는 크게 인력과 의료 인프라 불균형 문제가 가장 크다”라며 “결국 중환자, 중증 응급환자를 케어할 제반이 갖춰져야 차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경제적인 정책 문제에도 영향을 크게 받는다”면서 “재정적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지역 필수의료 서비스에 투자를 하기 힘들고, 개인은 과도한 의료비 부담으로 수요를 감당하지 않는 상황이 생긴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방의료 지원 예산이 부족해지면 서비스가 부족해질 수 밖에 없고 인구 감소에 의료기관 운영조차 힘드니 다시 인프라는 줄어든다”며 “인센티브도 없으니 지방 필수의료를 기피하는 악순환이 이어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취약지역 응급의료 상황 악화···지역 내 전원시스템 구축 등 필요성 확대
조 교수에 따르면 병원 규모와 시설 투자에 따른 사망률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응급의료, 28대 중증 질환군 표준화 사망비에서 서울은 지속 좋아졌고, 지방은 상황이 계속 나빠지고 있다.
결국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 내 의료 시스템 구축이라는 목표를 달성해야 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기술적 확충, 인력 배치가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이뤄내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에선 e-ICU(원격 중환자실)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e-ICU는 ICT(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개별 의료기관 중환자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통합관제시스템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원격 중환자실이다.
그는 “ 병원, 보건소, 병원 전(前) 단계에서 중환자에 대한 통합적으로 자원을 공유하고 중증도에 따른 지역 내 전원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라며 “이동형 ICU(중환자실) 또는 응급실도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료취약지가 어딘지 확인하고 지역적 특성 파악도 중요하다”면서 “정부와 민간 협력을 통해 인프라, 인력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IT기술 활용도 적극적으로 연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