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예방사업→당뇨병 前단계 환자들 '발병률' 낮춰
예방연구사업단 '생활습관 개선 등 프로토콜 적용 효과 확실'
2018.09.27 05:32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다영 기자] 국가적으로 당뇨병 예방 사업을 강화하면 당뇨 전(前)단계 환자들의 당뇨병 발병률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당뇨병학회 산하 한국당뇨병예방연구사업단이 최근 당뇨병 예방연구사업 중간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 같은 주장을 내놓았다.


국내 당뇨병 예방연구사업은 한국당뇨병예방연구사업단이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 국민건강임상연구 코디네이팅센터와 공동으로 진행 중이다. 이 연구는 보건복지부 국책과제로 대학병원 중심의 1과제와 보건소 중심의 2과제로 나뉜다.


이 연구에서는 당뇨 전단계 환자들 중 표준관리군을 생활습관개선군 혹은 메트포르민 투여군의 당뇨병 발생률을 비교 관찰한다. 목표 대상자 744명에 대해 당뇨병 발생여부를 3년간 추적관찰하는 방식이다.


마지막 등록 환자까지 3년 후 당뇨병 발생여부를 추적, 관찰하기 때문에 연구팀은 총 기간을 6~7년 가량으로 예상하고 있다.


1과제와 2과제는 연구 내용이 같지만 1과제는 10곳의 대학병원, 2과제는 수원과 충주 보건소에서 진행된다는 차이가 있다.


1과제는 목표 대상자 744명 중 440여 명, 2과제는 420명 중 415명이 등록했다.


연구팀은 "금년 6월 말까지 등록 후 최소 1년 이상 추적 관찰한 환자들을 중간 분석한 결과, 생활습관 개선이나 메트포르민 투여 등의 철저한 예방으로 당뇨병 발병률이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1년째 데이터를 통해 1과제에서 생활습관 개선군과 메트포르민 투여군의 당뇨병 발생률은 표준치료군보다 낮게 나타났고 2과제에서도 표준치료군 대비 생활습관 중재군에서 당뇨병 발생률이 낮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경희대학교 내분비내과 전숙 교수는 “최종 결과가 아니고 목표 대상자 중 일부만 1년이 지났기 때문에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면서 “국책사업은 10월 말 종료된다. 국책사업이 종료될 때 한번 더 중간발표를 계획하고 있다. 이때 연구 결과가 좋게 나타나면 환자수를 늘리지 않고 현 상태에서 진행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 교수는 “국내 30세 이상 당뇨병 한자는 전체 인구 중 7분의 1이나 되고 유병률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 이들에 대한 관리가 전혀 되지 않고 단순 방치되고 있다. 미국, 중국, 유럽 등에서는 이런 연구를 20년 전에 진행해 생활습관 중재, 메트포르민 처방 등 적극적으로 예방 사업을 국가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식생활 등 모든 생활 패턴이 외국과 다르기 때문에 우리나라 데이터를 얻어내고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당뇨병 전단계 환자들을 간혹 보는데 당뇨병 진단을 받는 것과 당뇨병 전단계에 머무는 것은 예후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면서 “당뇨병으로 이행되는 것을 최대한 늦추거나 철저한 관리로 정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치료보다도 좋다. 연구 결과가 국내 당뇨병 예방 사업 프로토콜 마련으로 이어지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