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치료 못지 않게 예방시스템 구축 매우 중요'
서울대 강승완 교수 '발생 예측 위한 ‘정량화 뇌파(QEEG)’ 기반 표준DB 관건'
2017.06.26 05:33 댓글쓰기

새정부 보건의료 정책공약 중 사회적 관심이 가장 높은 ‘치매국가책임제’ 관련 논의가 지속되는 가운데 빅데이터를 활용한 치매발생 예측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치료에만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예방적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서울대학교 한국인뇌파데이터센터 강승완 센터장(간호학과 교수)[사진]은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 본부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과 참조표준 데이터’ 심포지엄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강 교수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 중 치매 유병률은 10%에 달하며 2050년에는 237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 치매와 관련된 사회・경제적 비용은 2013년 11조7000억원에서 2050년 43조2000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통계적으로도 고령화와 치매 문제는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할 부분인데다가 문재인 정부가 꺼내든 치매국가책임제가 공공부문 치매 예측, 예방시장을 확대시킬 것이라는 분석이다.


강 교수는 “치매 예측 및 예방 시장 활성화의 중심에는 ‘정량화 뇌파(QEEG)’를 기반으로 하는 DB 구축이 관건이 될 것이다. 연령별로 구분해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는 정량화 뇌파 분석은 각종 정신적 질환 고위험군에 대한 진단도구로 매우 가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질환을 조기예방하거나 질환으로 이환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권고한 바 있다. 


특히 대규모의 건강인 표준 DB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며 가능하면 연령 및 종단적 추적자료가 행동지표와 연계돼 구축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 교수는 “지난 2012년부터 서울대 한국인뇌파데이터센터는 뇌파 참조표준 DB를 구축하고 있다. 누적인원 수는 1280명으로 소아청소년, 성인으로 구분해 데이터를 쌓아가고 있다. ‘iSyncBrain’이라는 자체 플랫폼을 통해 빅데이터를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외국에서는 뇌파DB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는 연구가 나오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향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연계가 가능할 것이다. 이 부분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건보공단 중장기 프로젝트로 진행하고 있는 한국인 건강지수 로드맵을 살펴보면 2020년 치매 데이터 생산 및 검증을 참조표준 등록을 목표로 하고 있다. 뇌파DB가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국가적 치매관리 패러다임이 바뀔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