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산소에 의한 세포스위치 기작 최초 규명
2001.04.06 11:47 댓글쓰기
6일 과학기술부는 창의적연구진흥사업단(생명연 류성언 박사)이 인체내의 활성산소가 세포기능을 스위치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을 세계 처음으로 밝혀냈다고 발표했다.

생명연 세포스위치단백질구조연구단장 류성언 박사에 따르면 대표적 산화환원 스위치단백질인 '옥시-R(OxyR)'의 산화된 상태와 환원된 상태에서의 삼차구조를 규명해 단백질폴드 자체가 산화-환원상태에 따라 스위치됨을 발견했다.

류 박사는 "옥시-R' 단백질은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내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지해서 항산화단백질의 전사를 촉진하는 전사인자인데 이번 연구를 통하여 옥시-R이 활성산소를 감지하는 기작과 활성화되는 기작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그동안 활성산소들은 세포에 유해한 기능과 함께 여러가지 세포기능 조절의 핵심적인 메신저로서 사용되 왔지만 지금까지 이러한 활성산소의 작용기작에 대해 정확히 알려진 것이 없었다.

이번 류 박사팀의 연구결과로 활성산소가 세포내의 단백질 구조를 완전히 변화시켜서 단백질의 기능을 바꾼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다.

특히 류 박사팀의 이번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과학 전분야에 걸쳐 인용지수 최상위권인 '셀(Cell)'지 최근호(4월6일자)에 게재되는 등 관련학계로부터 연구성과를 인정받았다.

▲용어설명

세포스위치단백질: 세포의 성장, 사멸, 방어 등의 기능을 전환하는 조절단백질.

세포기능스위치: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여 세포의 핵심기능이 조절되는 현상.

활성산소: 반응성이 강한 산소의 유도체들을 통칭하는 것으로 세포에 유해한 효과와 함께 세포의 핵심기능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의는 042-860-4149.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