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공조 통한 한약재 국제기준 시급'
2000.10.22 11:33 댓글쓰기
한약재 국제기준이 마련되기 위해서는 한·중·일 당국자의 국제교류가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지난 20일 경희대에서 200여명의 관계자들이 참가한 가운데 '한약관리제도 발전방향'을 주제로 한·중·일 국제심포지움을 개최하고 한약관련 제도개선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심포지움에서 참석자들은 중국산 한약재가 범람하면서 수출입 역조현상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어 자국의 한약 재배 활성화방안이 모색돼야 한다는데 공통분모를 형성했다.

보건산업진흥원 정두채 의약산업단장은 '한약관제도의 발전방향'에서 국산 한약재 수출은 급감한 반면 외국산 한약재 수입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단장은 "한약재 수출이 98년 158만8천불로 급감해 그해 수입의 5.2% 수준에 불과했다"며 "저가의 외국산 한약재 대량수입으로 국산한약재 생산기반이 몰락할 위기에 직면했다"고 밝혔다.

그는 한약 관리제도 발전방향으로 한약(재) 개념의 정립, 한약(재) 관리법규 및 관리기준의 개정, 한약(재)관리체계의 정립과 한약(재)관리조직의 강화를 제안했다.

일본의 마사오 핫토리(도야마대 화한약연구소) 교수는 "한방생약의 90%이상을 중국을 위시한 근접국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며 "일본은 중국의 마황, 감초의 수출제한에 위기상황에 있다"고 발표했다.

핫토리 교수는 "자연보호가 목적이라고는 하나 중요생약 공급이 중단된다면 타국으로붵의 수입이나 대체생약의 개발해야만 되는 상황에 있다"고 소개했다.

반면 중국의 조지신(천진의대) 교수는 "전통약품은 주로 중국 약초를 가리키며 유럽인은 식물약초는 몇천년 동안 사용해온 것이라 생각한다"며 중의약의 비교우위를 주장했다.

그러나 조 교수는 "중국이 수출하고 있는 중의약재 상품의 질과 상품 조제 형태·설계·포장·홍보 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다"고 인정했다.

또 "통계에 따르면 영국에는 중의약초 중 10%가 중국의학 경전과 부합되지 않는 것"이라며 "품종 검증이 미흡하기 때문에 중대한 독극물 부작용사건이 생겨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따라서 "중국 현대화 연구와 산업화 개발이라는 프로젝트를 가동해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며 "우수한 약재 생산 기지, 모종 생산기지 등 현대화된 산업기지가 만들어 질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장승엽 담당관은 한약 규격의 국제조화를 위해 ▲각국의 생규관련 규정 개정 작업 ▲약전의 공통점 및 상이성 분석▲생약품질관리를 위한 표준품 및 대조약재 마련 ▲개별 생약이 규격작성에 관한 작업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일본과 중국은 협의에 한국이 참여하는 3국간의 교류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