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박근빈 기자] 알츠하이머병 진행에 따른 뇌 속 글루타메이트계의 변화를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로 규명하는 등 조기진단 가능성이 높아졌다.
최근 한국원자력의학원 이해준·최재용 박사와 인하대병원 이민경 박사 연구팀은 알츠하이머 발병 원인 인자인 신경세포 파괴 단백질 베타아밀로이드 침착이 기억과 관련된 글루타메이트계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글루타메이트계가 알츠하이머병이 진행되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실험용 쥐를 이용해 출생 시부터 9개월 간 연속적인 변화를 관찰했다.
글루타메이트계 선택적 결합이 가능한 방사성의약품을 알츠하이머병 쥐에게 주사한 후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을 시행한 결과, 의약품 섭취가 생후 5개월에 약 27%로 낮게 나타나고 7개월에 다소 높아진 후 9개월에 다시 27%로 낮아지는 것이 확인됐다.
알츠하이머병 쥐에서 기억손상 및 과활성 등의 행동이상은 생후 7개월부터 나타났다.
그간 비임상 동물모델에서 MRI와 같은 분자영상으로는 알츠하이머병을 감별하기 어려웠던 점을 극복하고 PET를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새로운 진단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알츠하이머병 진행에 따른 글루타메이트계 변화를 밝히기 위해 신경염증을 그 원인에 두고 후속 연구를 계속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지원하는 ‘뇌질환 극복 방사선의학 선도기술개발’ 사업과 생애 첫 연구사업 일환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노화신경생물학(Neurobiology of Aging)‘ 2019년 8월9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