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신약 펙수클로∙엔블로→국내 넘어 '해외'
2020년 448억→2022년 1348억 등 2년간 수출 200% 성장
2023.08.25 06:14 댓글쓰기



대웅제약 DDW 2023 부스 전경. 사진=대웅제약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이 글로벌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어 이목을 끈다.


특히 우리나라 전체 수출은 적신호가 켜진 상태다. 올해 우리나라 상반기 수출은 전년대비 12.3% 감소한 상황이다.


지난 5월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제2차 세계화의 종언과 한국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교역 비율 상승세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소멸하며 수출 환경이 위기를 맞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최근 10년간(2013~2022년) 한국의 수출 증가율이 금융위기 이전인 1990~2007년(12.9%)과 비교해 크게 하락한 2.8% 수준으로 확인됐다.


수출 침체 흐름과는 반대로 ‘바이오헬스’ 산업은 성장세를 띄며 ‘제2의 반도체’로 부상 중이다. 코로나 기간인 2019년~2021년 동안 28.2%의 수출 성장세로 국내 유망산업으로 자리를 잡았다.


특히 대웅제약은 자체개발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의 글로벌 시장 확대와 펙수클루, 엔블로 등 자체개발 신약에 힘입어 최근 2년간 해외수출이 200%이상 성장했다.

대웅제약 관계자가 펙스클루 중국 임상 3상 결과에 대한 포스터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대웅제약

자체 개발 신약, 동남아 중남미 등 해외시장 진입 순항


대웅제약은 지난 2020년 448억원이었던 수출액이 지난 2022년 1348억원까지 증가하는 등 성장세가 눈에 띈다. 올해는 1485억원을 목표로 순항 중이다.


지난해 7월 출시된 대웅제약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신약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는 국내 출시 1년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필리핀, 에콰도르, 칠레 등 중남미 3개국 허가라는 쾌거를 이뤄냈다.


특히 칠레의 품목허가 여부는 중남미 국가에서 품목허가 기준으로 삼는 사례가 많아 향후 중남미 시장 진출은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외에도 펙수클루는 멕시코, 브라질 등 11개 국가 품목허가 신청에 이어 최근 4조 2천억 원 규모의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도 품목허가 신청을 완료했다.


최단기간 동안 가장 많은 국가에 품목허가 신청을 한 국내 개발 신약으로, 기술수출 계약 체결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중국을 포함한 총 18개국에서 수출 계약을 체결한 상탱다.


2036년까지 물질 특허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확보한 상태다.


또한 엔블로는 2021년 Global IMS 자료 기준 1조 7000억 원 규모에 달하는 아세안 시장 진출을 위해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품목허가 신청 등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나보타, 미용시장 넘어 치료시장 확대 가속화


대웅제약이 자체 개발한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는 해외 시장에 진출해 탄탄한 수출 실적을 기록하며 대표 K-톡신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보툴리눔 톡신 1위 시장인 미국 내 성장세가 가파르다. 미국 판매 파트너사 에볼루스에 따르면 고객 대상 로열티 프로그램 ‘에볼루스 리워즈’에는 현재까지 총 60만 고객이 가입했다.


누적 시술 횟수는 100만 건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나보타는 최근 2년간 미국에서 연평균 62%의 매출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시장 점유율도 10%를 돌파했다.


이 외에도 나보타는 미용 성형 부문에서 남미 최대 시장인 브라질에서도 지난해 점유율이 두자릿수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3배 이상 성장했다.


특히 최근에는 나보타의 치료적응증 파트너사 이온바이오파마의 미국 증시 상장이 이뤄지면서, 미용시장을 넘어 치료시장으로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자체 개발 신약을 기반으로 미국∙유럽 등 선진국 시장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성장동력인 신약 개발과 수출 활성화를 위해 전사 역량을 집중해 글로벌 헬스케어 그룹 입지를 공고히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