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미용+치료 투트랙, 글로벌 경쟁력 강화"
나보타, 보톨리눔 톡신 중 세계 최초 '사각턱' 추가··총 5개 '적응증' 보유
2023.08.28 05:58 댓글쓰기




대웅제약의 보툴리눔 톡신 제품 '나보타'가 세계 최초로 사각턱 적응증을 추가했다. 최근 나보타가 미용시장을 넘이 치료시장으로 진출해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적응증 확대로 성장세가 가속화될지 주목된다.


대웅제약은 지난 25일 식품의약품안천처(식약처)로부터 자체 개발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가 양성교근비대(사각턱) 적응증을 허가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이로써 나보타는 총 5개 적응증을 보유하게 됐다. 미용분야에서는 ▲미간주름 ▲눈가주름에 이어 ▲사각턱 적응증, 치료분야에서는 ▲뇌졸중 후 상지근육경직 ▲눈꺼풀 경련 적응증이다.


대웅제약에 따르면 나보타의 사각턱 적응증 획득은 전 세계 보툴리눔 톡신 중 최초다. 나보타는 상안면, 하안면 주요 시술 부위에 대해 적응증을 보유한 유일한 제품이 되면서 안면부 시술에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대웅제약은 향후 나보타 해외 허가국가에서도 사각턱 적응증 추가해 글로벌 시장에서 안면부 시술의 대표 제품으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이다. 

나보타는 다수의 글로벌 국가에 진출해 있다. 최대 시장으로 일컬어지는 미국에서 나보타(미국명 주보)는 최근 2년간 연평균 62%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나보타 이용 고객의 과반수가 밀레니얼 세대 혹은 더 젊은 층으로 구성돼 있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시장점유율 역시 10%를 넘어서며 대표 톡신 브랜드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또한 미국 판매 파트너사 에볼루스에 따르면 고객 대상 로열티 프로그램 '에볼루스 리워즈'에는 현재까지 총 60만 고객이 가입했으며, 누적 시술 횟수는 100만 건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나보타의 빠른 성장에 에볼루스는 올해 2분기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매출 4930만 달러(약 630억 원)를 기록하면서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하기도 했다. 


에볼루스는 올해 매출을 1억8000만 달러에서 1억9000만 달러로 전망했으나 나보타의 가파른 성장으로 1억8500만 달러에서 1억9500만 달러까지 상향 조정했다. 또 2025년도 필러 발매 등 다각화된 사업 모델 기반으로 유통구조도 확장해 2028년까지 7억 달러 규모(약 9000억 원)의 매출을 달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외에도 나보타는 영국∙독일∙오스트리아∙이탈리아 등 유럽 내 주요 보툴리눔 톡신 시장에서도 영향을 확대하고 있다.


미용 성형 부문에서 남미 최대 규모의 시장을 이루고 있는 브라질에서 지난해 시장 점유율은 두 자릿수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3배 이상 성장했다. 이처럼 가파른 성장을 통해 나보타는 지난해 매출의 77%를 해외에서 벌어들였다. 


대웅제약은 2024년 나보타를 호주에도 발매하며 진출 영역을 넓혀 나갈 계획이다. 중국 역시 허가 절차가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나보타의 선진국 치료적응증 파트너사 이온바이오파마(AEON Biopharma, Inc.)의 미국 증시에 상장으로 미용시장을 넘어 치료시장에서 나보타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


국내 톡신 시장은 미용 분야 머물러 있는 데다, 다수 업체의 시장 진입으로 가격 경쟁이 심화돼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반면 글로벌 시장은 미용시장보다 치료시장 규모가 더 크다. 시장조사 기관 FBI(Fortune business insight)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톡신 시장은 65억 달러(약 8조3000억 원)를 기록했고, 이 중 치료시장은 53%로 34.4억 달러(약 4조4000억 원)에 달한다.


나보타의 삽화성 및 만성 편두통은 모두 임상 2상 진행 중으로, 삽화성 편두통 적응증은 올해 하반기, 만성편두통은 2024년 2상 톱라인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경부 근긴장이상 적응증은 올해 안으로 2상을 종료하고 2024년 3상 진입을 계획하고 있으며, 위마비 적응증은 임상 2상 신청계획(IND) 제출을 완료했다. PTSD 적응증은 전임상 단계에서 연구 중이다.


박성수 대웅제약 부사장은 "나보타의 우수한 품질을 바탕으로 글로벌 톡신 치료시장 진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