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비납부 거부, 속타는 의협…교수들 아우르기
추무진 회장, 재정적 지원 약속…'전문가 신뢰 회복 동참' 당부
2014.07.28 20:00 댓글쓰기

“대한의사협회와 대한의학회가 공동으로 의과대학 교육과정 등에 대한 평가 강화 및 무분별한 의과대학 신증설에 따른 문제점을 정부에 건의, 개선해 나가자.”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의 회비 납부 거부 운동으로 대한의사협회의 고민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의협이 이를 의식한 듯 대한의학회에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하며 참여 및 협조를 요청하고 나서 주목된다.

 

대한의사협회 추무진 회장은 28일 대한의학회 회보를 통해 “그 동안 재정상황이 열악해 기대 이상으로 지원을 하지 못했으나 앞으로 주어진 상황에서 의학회 활동 지원에 최대한의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천명했다.

 

의학회는 1966년 5월 의협 상임이사회 결의로 의학 학술단체의 결집을 위해 분과학회협의회로 창립돼 1967년 4월 의협 정관상의 정식 기구로 인정받았다.

 

1988년 4월 의학회로 명칭을 변경한 이후 2007년 5월, 사단법인으로 재탄생 하는 과정을 통해 의학 학술단체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다.
 
추무진 회장은 “현재 의료계는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며 “의학과 의료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음에도 이를 뒷받침하는 의료 환경은 따라가지 못하고 오히려 갈수록 열악해지고 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우선, 원격의료 및 영리자회사 설립 저지 등 일방적인 의료정책 추진 속에서 국민들에게는 이익집단의 표본으로 투영돼 전문가 단체로서 지위를 잃어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내부적으로는 여러 지역과 직역 및 세대 간의 갈등 양상에 직면, 이로 인해 의협이 의료계 종주단체로서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고 현주소를 진단했다.

 

추 회장은 “의협이 전문가 집단으로서의 자존심과 대국민 신뢰를 회복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이러한 노력에 의학회도 적극 동참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환기시켰다.

 

최근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전공의 수련환경 및 수련제도 개선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추무진 회장은 “지난 4월부터 수련규정이 개정돼 전공의의 오랜 숙원이었던 8개항의 수련환경 개선사항이 시행되고 있으나 제도로 정착하기에는 아직 요원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수련병원 입장에서는 대체인력에 대한 경제적 보상방안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교육자 입장에서는 수련교육의 질적 담보 문제가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어 “미래 의료 자원인 전공의 인권과 환자 안전 확보 차원에서라도 열악한 근무환경은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며 “전공의 수련제도 또한 의료 현실에 부응하게끔 개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학회 역할을 당부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추 회장은 “각 직역 간 여러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면도 있으나 의협과 의학회가 합심해 합리적으로 개선되고 제도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협력하자”고 밝혔다.

 

여기에 일부 의과대학의 부실 교육으로 인한 의사의 질이 저하에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가로 의사수가 급속도로 증가추세에 있다.

 

추 회장은 “정부 차원의 수급조절 대책이 시급히 수립돼야 하며 그 하나로 의과대학 입학정원 감축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제38대 집행부는 의사 전문성과 소신진료를 막는 의료법과 시행규칙, 불합리한 건강보험제도에 기인한다고 보고 올바른 의료제도의 정착을 최대과제로 삼고 있다는 점을 피력했다.

 

추 회장은 “의사 전문성을 존중하고 소신진료를 할 수 있도록 의학회도 제도적인 뒷받침을 해 올바른 의료제도와 의료환경을 조성해 나가는데 힘을 보태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의학회는 의협을 지탱하는 중요한 기둥이다. 학회도 의협 회무에 보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며 “모든 직역이 하나로 화합, 저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의협은 지속적으로 의학회 및 회원학회들과 긴밀히 소통하고 의학 발전을 위해 다양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겠다”며 “의협이 나아가는 길에 동반자이자 협력자로 함께해 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