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고도비만 급증, 젊은당뇨 환자 증가'
김대중·하경화 교수팀, 2006년~2015년 10년 당뇨병 발생률 분석
2022.02.24 10:54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이슬비 기자] 최근 10년간 20~30대 젊은 당뇨병 환자가 늘고, 특히 이들 환자에서 고도 비만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아주대병원은 내분비대사내과 김대중·하경화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자료를 통해 지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당뇨병 발생률 변화 추이를 비교·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국내 당뇨병 발생률은 2006년 인구 1,000명 당 7.7명에서 2015년 6.3명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만한 점은 연령별로는 40대 이후 중·노년층에서는 감소 추세인 반면 20~30대 젊은층의 경우 2006년 인구 1,000명당 1.3명, 2015년 1.7명으로 증가하는 추세라는 것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8년) 자료에서도 당뇨병 유병인구 수는 20대 6만9000명(1.0%), 30대 17만9000명(2.4%) 등으로 추산되는데, 연구팀은 “젊은 당뇨병 환자가 늘어나는 것은 비만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20~30대 당뇨병 진단 시 비만을 동반한 비율을 살펴보면, 2006년 51.4%에서 2015년 72.4%로 크게 늘었다. 
 
특히 2단계 비만(체질량지수 30.0-34.9kg/m2) 비율이 2006년 11.2%에서 2015년 20.4%로, 3단계 비만(체질량지수≥35.0kg/m2, 고도비만) 비율은 2006년 0.0%에서 2015년 10.2%로 급증했다. 
 
김대중 교수는 “젊은 당뇨병은 심한 비만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혈당관리가 쉽지 않고, 오랜 기간 고혈당에 노출돼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른 나이에 합병증 발생 시 삶의 질이 급격히 떨어지고 조기 사망 위험이 높아진다”며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고, 진단 후에는 당뇨병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젊은 나이에도 당뇨병에 걸릴 수 있음을 인지하고 평소 심한 비만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건강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지난 1월 대한당뇨병학회 발행 SCIE 학술지 ‘DMJ(Diabetes & Metabolism Journal)’에 ‘Rising Incidence of Diabetes in Young Adults in South Korea: A National Cohort Study(한국의 젊은 성인에서 당뇨병 발생률 증가 : 국가 코호트 연구)’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