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협, 분업준비 비용 7천억 지원 건의
2000.07.06 02:08 댓글쓰기
제약업체가 분업에 대비해 약효동등성시험과 의약품 인식표시 등을 추진하고 덕용포장을 소포장으로 바꾸는데 따른 총 비용이 무려 7천억원 정도에 이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제약협회(회장 김정수)는 6일 이같은 제약업계의 원가부담 부분을 정부가 지원해줄 것을 촉구했다.

제약협회는 이날 "분업준비에 따른 추가비용에 대한 지원이 없으면 일부 의약품의 퇴장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동일효능의 고가약 대체현상을 초래, 정부의 보험재정을 압박하게 될 것"이고 밝혔다.

제약협회는 "개별 의약품류 식별표시 및 약효동등성 확보에 1,800억원, 당의정 식별표시 관련비용에 3,600억원, 소포장 공급 관련비용에 1,500억원 등이 추가 투입된다"고 설명했다.

처방약 소포장 공급과 관련, 제약협회는 "현재 대부분의 의료보험용 의약품은 최대포장 단위로 약가가 책정돼 등재돼 있다"고 강조했다.

제약협회는 "이를 소포장으로 전환하는데 따른 자재·설비비 및 물류비 상승과 바코드 교체, 덕용포장 자재폐기 등의 경제적 손실로 일부 저가품목의 경우는 원가보다 포장원가가 더 많이 소요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협회는 그러나 "비상 상황임을 감안, 제약업소가 처방의약품을 원활히 공급, 환자 진료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독려하는 등 정부의 의약분업 시행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협회는 이와관련, 회원사에 "의약품 분류 재조정에 따른 허가사항 변경내용은 약사회 협조를 얻어 약국에서 직접 부착해 변경토록 조치했다"며 "스티커 등의 필요한 자료를 제약업소에서 약국에 직접 공급해줄 것"을 당부했다.

협회는 또 "약국의 경제적 부담이 경감될 수 있도록 소포장(50정 내지 100정) 단위의 제품을 적극 생산 출하해 줄 것"을 독려했다.

특히 협회는 "제약업소의 과다한 담보요구로 도매상에서 처방약 수급에 차질이 발생된다는 건의가 있다"며 "무리한 담보요구 등을 자제해 달라고 전 회원사에게 통보했다"고 밝혔다.

한편 김정수 회장은 지난 3일 차흥봉 복지부장관과 전윤철 공정거래위원장 등에게도 분업에 따른 제약업계의 추가부담 부분을 지원해줄 것을 건의한 바 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