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생동성 제네릭, '일반명+회사명' 개선 필요'
약사회 이모세 환자안전약물관리본부장 '환자와 의료진 편의 제고' 강조
2018.09.27 05:25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문제가 된 발사르탄 회수 과정에서 발생한 환자와 의료진의 혼란이 재현되지 않도록 다른 국가들처럼 제네릭 약명을 '일반명+회사명'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끈다.

대한약사회 이모세 환자안전약물관리본부장[사진]은 최근 데일리메디와 만난 자리에서 발사르탄 사태로 인해 드러난 문제 중 하나로 환자나 의료진에 대한 편익을 고려하지 않은 공급자 중심의 제네릭 제품명을 꼽았다. 

이모세 본부장은 "발사르탄 사태의 경우 최초 원인과 별도로 의약품 회수조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혼선이 생겨 더 악화됐다"며 "환자들이 병·의원 및 약국을 찾아와 약을 보여주면서 발암물질이 들었는지 아닌지 확인해달라는데, 생소한 이름이 많아 사전을 찾아보거나 인터넷 검색을 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들었다"고 말했다.

식약처가 판매 및 생산 중지 처분을 내린 의약품 가운데 △코넥스 △씨알비 △사디반 △바오르 △엑스데핀 △코넥스 등은 제품명만 놓고 보면 어떤 질환 혹은 계열의 약인지 연상작용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회수 대상인지 아닌지 금방 판단할 수 없으니, 의료진과 환자 모두 불편함을 느꼈다. 발사르탄 사태는 고혈압약에 국한된 일이지만 당뇨약의 경우 1개 제제에 100개가 넘는 품목이 있어 더 큰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본부장은 "사후 처리 문제와 관련해 제네릭 제품명이 너무 다양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일본의 경우 제네릭에 대한 제품명 관련 가이드라인이 있다"고 지적했다.

"외국은 거의 병행 표기, 한국은 발암물질 함유 제네릭 이름 중구난방 600만명 고혈압환자 큰 혼란"

실제 이번 발사르탄 사태는 한국은 물론 미국, 캐나다, 영국 등지에서도 일어났는데 이들 국가의 경우 제네릭 의약품 명이 모두 '발사르탄+회사명' 혹은 '회사명+발사르탄' 형태여서 빠른 대처가 가능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중구난방으로 제품명이 지어져 600만명의 고혈압 환자들이 모두 자기 약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불안감에 휩싸여 의료기관을 찾는 해프닝이 벌여졌다.

이에 다른 국가들처럼 제네릭 제품명을 단순화하자는 의견이 제안된 것이다. 만약 '일반명+회사명'으로 제품명을 정하게 되면, 문제가 생긴 의약품 회수가 편하고, 중복처방의 위험이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모세 본부장은 "만약 제네릭 제품명이 '종근당발사르탄, 발사르탄구주라면 의료진이 약이름만 봐도 환자에게 빠른 상담이 가능하다"며 "환자 역시 자신이 먹는 약이 무엇인지 쉽게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물론 제약사가 R&D를 통해 개발한 약의 경우 브랜드명을 붙이는 게 당연하지만, 공동생동을 거쳐 동일한 성분의 약인 경우 제품명을 지나치게 다양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고 본다"며 "원개발사를 제외하곤, A발사르탄, 발사르탄B와 같이 누가 봐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제품명을 변경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제네릭 의약품명에 국제일반명(INN)을 넣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성분명이 지나치게 길면 줄여 일반인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이 본부장은 "특허라는 게 일정 기간 독점 권한을 인정해주는 대신 그 기간이 끝나면 공익적 목적을 위해 풀어주도록 돼 있다"며 "제네릭의 경우 특허 해제로 인한 이득으로 생산된 의약품인데, 이로 인한 편익이 국민에게 가는 것이 제도적으로 막한 현재 상황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의료진과 환자가 쉽게 소통할 수 있도록 공동생동을 한 약들의 경우 어느 정도 제품명을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며 "이런 개선이 이뤄지면 문제가 있는 약을 쉽게 추적할 수 있고, 같은 약을 중복 처방 받는 일을 막을 수 있어 환자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