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바이오텍이 대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하자 주주들이 반발하고 나선 가운데 금융감독원이 회사 측에 정정신고서 제출을 요구, 유상증자 절차에 제동이 걸렸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차바이오텍은 지난 7일 금감원으로부터 유상증자 증권신고서에 대한 정정신고서 제출 요구를 받았다.
금감원은 "12월 20일 제출된 증권신고서에 대한 심사 결과 증권신고서의 형식을 제대로 갖추지 아니한 경우 또는 중요사항의 기재나 표시 내용이 불분명해 투자자의 합리적인 투자 판단을 저해하거나 투자자에게 중대한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경우에 해당돼 정정신고서 제출 요구를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차바이오텍은 지난달 20일 2500억 원대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결정한 바 있다.
1주당 신주배정주식수는 0.3931499817주, 발행가는 1만800원으로 보통주 2314만 8150주가 발행될 예정이었다. 조달 자금은 약 2500억 원으로 차바이오텍 시가총액의 약 40%에 해당된다.
하지만 공시 직후 차바이오텍 소액주주연대는 반발했고, 지난달 23일 회사 측에 유상증자 철회를 요구하는 내용증명을 발송했다.
주주연대는 "시총 8300억 원에 2500억 원이라는 과도한 금액을 유상증자하려는 회사 행태를 고발한다. 유증 발표 이후 시총이 2500억 원가량 감소해 6000억 원대가 됐고 과도한 금액의 유상증자는 주주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힌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대주주 지분 30% 중 본인들은 40%만 참여하면서 나머지 70%의 개인 투자자들에게 유상증자를 시도해 주식 가치를 훼손하고 기존 주주들을 기만했다"고 주장했다.
주주연대는 차바이오텍의 자회사에 대한 자금 지원도 문제 삼았다.
이들은 "차바이오텍은 유상증자 계획이 없다고 밝혔으며, 자회사인 마티카바이오에 대한 유상증도 없다고 했으나, 이번 유증에 마티카 바이오 과련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는 주주들과의 약속을 어기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차바이오텍은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 중 1100억 원을 자회사 차헬스케어와 마티카홀딩스에 출자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차헬스케어의 경우 2027년 IPO(기업공개)를 목표로 관련 절차를 진행 중인데, 주주연대는 차바이오텍 주주가 투자한 자금으로 이득을 보는 건 결국 차헬스케어가 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에 주주연대는 유증 즉각 철회와 함께 고정자산 매각을 통한 자금 확보를 요구했다.
이들은 "부동산 셀앤리스 등 고정자산 및 계열사 매각(차헬스케어 일부병원 등)으로 유동성 자금을 확보하고, 시행 중인 연구 프로젝트 중 가시적 성과 없이 비용이 과다 지출되는 연구개발 분야의 투자를 대폭 축소해 성공 가능성이 높은 곳에 선택과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주연대는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오너일가에 대한 국제청의 세무조사 요청 ▲금감원·언론·정치권에 민원 제기 ▲주주집단 소송 등을 진행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업계 일각에서는 차바이오텍의 유증 철회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차바이오텍이 3개월 내에 정정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자본시장법에 따라 유증은 철회된다.
차바이오텍 관계자는 "금감원의 정정신고서 제출 요구에 대한 대응 방안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차바이오텍 주가는 지난달 20일 1만4860원에서 유상증자 공시 후 하락세를 이어가 8일 1만1830원(-20.4%)으로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