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임수민 기자] 코로나19 지역사회 전파에 따라 국내 확진자가 1200명을 초월한 가운데 환자를 중증도로 나눠 경증환자는 집에서 치료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오명돈 신종 감염병 중앙임상위원장(서울대 의과대학 교수)은 26일 서울 국립중앙의료원 연구동에서 개최된 기자회견에서 “중국에서 얼마 전 발표한 중증도에 따른 치사율에 관한 자료를 보면 가벼운 경증(mild)과 중증(severe) 모두에서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았다”라고 전했다.
오명돈 위원장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중국 내 코로나 경증 환자 3만8160명(80.9%)과 중증 환자 6168명(13.8%)을 관찰했을 때 아무도 사망하지 않아 치사율이 0%로 나타났다.
반면 심각(critical) 단계는 환자 2087명(4.7%) 가운데 1023명이 사망해 치사율이 49%를 보였다.
여기서 ‘중증’이라고 정의한 기준은 호흡 수가 분당 30회 이상이거나 혈액 산소 포화도가 93% 미만, 흉부 엑스선 폐 침윤이 50% 이상인 경우다.
오명돈 위원장은 이를 두고 "증세가 가벼운 경증 환자는 집에서 치료하고 폐렴이 있거나 중증환자의 경우 2, 3차 의료기관에서 진료하며, 더욱 심각한 단계에 접어들면 중환자실이나 인공호흡기 치료가 가능한 3차 병원이나 대학병원에서 치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코로나19는 지역 사회 확산의 단계에 접어들었는데 이 시기의 핵심 방역전략은 한정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사망률을 낮추는 것이다”며 “특히 대구, 경북과 같이 의료자원이 부족한 경우 중증도에 따른 의료자원의 효율적 전략으로 사망률을 감소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혅 국공립의료기관을 활용해 5000병상 정도 준비됐는데 이는 보건당국이 감당 가능한 환자가 5000명이란 뜻이다”며 “하지만 경증 환자를 병원이 아닌 집에서 치료한다면 5000병상의 4배까지 수용 가능해져 약 2만을 감당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자가치료 대상자가 되기 위해선 감염병 증상의 경증 외 다른 조건에도 부합해야 한다.
방지환 중앙감염병병워운영센터장은 “자가치료는 치료 중 증상이 나빠졌을 때 의료기관에 알릴 보호자가 있어야 하고 방이 두 개 이상이어서 다른 사람에게 전파할 가능성이 낮아야 하며 환자와 동거인이 마스크 착용, 환기 등 질병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노력이 가능한지 등 따져봐야 할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경증환자 자가치료에 대해선 질병관리본부와 계속 의견 조율 중이지만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있다”며 “언제쯤 합의될 것이라 장담할 수 없지만 꾸준히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