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환자 2000명 넘어 '병실 부족' 현실화
정부, 중증 음압병상-경증 자가격리-완치 조기퇴원 등 '분류 치료' 검토
2020.02.28 12:33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백성주 기자]  오늘(28일) 국내 코로나19 확진환자가 다시 256명 추가됐다. 총 환자수는 2022명으로 첫 환자 발생 39일만에 2000명을 넘게 됐다.

특히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병상 부족이 현실화되면서 정부가 중증 환자는 국가지정 음압병상, 경증 환자는 감염병 전담병원, 훨씬 더 경증인 환자는 자가격리로 나누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8일 오전 9시 기준 국내 확진자수는 2022명이다. 지난 26일 1000명을 넘은지 이틀만에 다시 2000명을 넘어서면서 보건당국에는 비상이 걸렸다.

신규 확진자의 가파른 증가세는 집단 감염이 일어난 신천지 대구교회 교인 등을 중심으로 진단 검사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대구‧경북지역 확진자는 총 1708명이다. 정부는 이 지역 환자를 수용할 병상 확보에 총력을 쏟고 있다. 현재 대구시 관내 음압병실 63개 중 47개, 대구의료원과 대구동산병원에서 430개 병상을 사용 중이다. 

추가 지정한 근로복지공단 대구병원, 대구보훈병원, 국군대구병원, 국립마산병원 등에 입원해 있는 환자를 타 기관으로 전원 조치해 3월 1일까지 약 1600병상을 확보할 방침이다.


이후에도 병상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 인근 지역 지방의료원을 전담병원으로 지정했고, 입원환자를 전원시켜 약 870병상을 확보 중에 있다.


아울러 경북 안동, 포항, 김천, 울진군의료원 및 상주·영주 적십자병원을 감염병전담병원으로 지정, 입원해 있는 환자를 타 기관으로 전원 조치하는 등 병상을 추가 확보하게 된다.


政, 완치환자 조기퇴원·경증환자 자택격리 등 고민

하지만 하루 수백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오고 있는 상황에 비해 병상은 턱없이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의 ‘완화 전략’을 촉구해 왔다.


병상 부족이 현실화되면서 정부는 그동안 봉쇄전략에서 벗어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27일 전문가 회의를 열어 해당 안건을 논의했으나 최종 결정을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은 “현 단계에서 대구와 같이 대규모 감염이 이미 발생한 지역에선 중증환자, 위중 환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통한 사망자를 줄이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중대본은 지자체별 감염병 전담병원을 지정하고 중증 환자는 국가지정 음압병상으로, 경증 환자는 감염병 전담 병원으로, 더 경증인 환자는 자가격리로 나누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와 공동으로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서 환자 중증도 분류 체계를 확정하고 이 기준에 따라 지자체가 병상 배정을 결정하는 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대구처럼 특수 상황에 있는 지자체에 대해선 될 수 있으면 환자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자신이 사는 지역에서 치료받을 수 있게 병상 확보, 인력 확충 등을 병행하게 된다.


기저질환이 있거나 호흡기에 문제가 있는 확진자들이 우선 치료받을 수 있도록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경증인 환자가 먼저 확진을 받았다는 이유만으로 중증환자가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 완치 환자의 기준을 완화해 더 많은 신규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병실 순환율을 높이는 방안도 마련 중이다. 코로나19 환자 격리해제 지침은 증상이 없어진 뒤 24시간 간격으로 시행한 두차례의 검사에서 모두 음성으로 나와야 가능하다.

격리해제가 이뤄진다고 해도 바로 퇴원하는 건 아니다. 의료진의 추가적인 판단을 한 번 더 거쳐야 한다. 이러다 보니 코로나19 환자가 퇴원하기까지는 평균 3주나 걸리게 된다.

정은경 방역대책본부장은 “연령·기저질환·맥박 등을 고려해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하는 지침을 만들고 있다”면서 “각 시·도 단위로 중증도 분류를 맡을 팀을 만들고, 국립중앙의료원에 전원조정센터를 만들겠다”고 전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