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발암물질 고혈압약···의협 '식약처 전면 개편'
'의료기관 혼란 야기된 상황에서 비슷한 사건 재발 유감'
2018.08.06 20:35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정숙경 기자] 지난 7월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발사르탄 판매 중지 발표 이후 한달 만에 똑같은 사태가 발생하자 의료계가 유감 입장을 표명했다. 

의협은 특히 "복제약 생동성 실험 및 약가 구조 등 식약처의 전면적 개편이 필요하다"며 "또한 식약처장의 즉각적인 징계 및 사퇴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6일 식약처는 국내 수입 및 제조된 모든 발사르탄 원료의약품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해 "중국 주하이 룬두사가 만든 발사르탄 원료의약품 일부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이에 해당 원료를 사용해 만든 59개 의약품(22개사)에 대해 잠정 제조중지 및 판매중지 조치를 내렸다.


의협은 "고혈압 환자들을 대상으로 과연 어떤 약을 믿고 처방을 해야 할지에 대한 일선 의료기관의 혼란이 야기되는 상황에서 또 이 같은 일이 벌어졌다"고 비판했다.


특히 "책임 있는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지난달 첫 발표도 주말에 이뤄졌는데 이번 발표 역시 환자들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휴가철 이후 월요일 오전에 이뤄져 혼란이 가중됐다"고 꼬집었다.


유럽 EMA는 5000명 당 1인, 미국 FDA는 8000명당 1인으로 발암 추정치를 발표한 상황이다.


의협은 "발암물질이 함유된 의약품이 추가로 밝혀지고 있다면 우리나라 환자들과 국민들은 얼마나 당
혹스럽고 걱정이 되겠는가"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무엇보다 "지난달 발암원료가 포함된 고혈압약 복용을 중지하고 새로 처방받은 약이 이번에 또 금지약이 됐다면 더이상 국민들이 의약품을 신뢰하고 약을 복용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협은 환자 진료와 질병 예방의 일선에 있는 의료기관과 함께 이번 사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중요한 것은 정부 차원에서 대대적으로 국민에게 안내하고, 시급히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이다.


의협은 "이번 사태에 대한 후속조치를 일방적으로 일선 의료기관에게만 전가해선 안 된다"고 분명히 했다.


연이은 발사르탄 사태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1차적으로 체감하는 일선 의료기관이 진료에 매진할 수 있도록 정부는 가능한 모든 지원을 해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식약처에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하기도 했다. 

의협은 "복제약 생동성 실험 및 약가 구조 등 식약처의 전면적 개편이 필요하다. 또한 식약처장의 즉각적인 징계 및 사퇴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