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로봇 대중화 병원계, '협동로봇' 배치 확산될까
산업통상자원부, 시장 확대 등 적극 추진···을지대병원 사례 주목
2018.02.19 05:42 댓글쓰기
정부가 인간과 함께 일하는 협동로봇 시장 확대를 적극 추진하면서 의료현장에도 이 같은 흐름이 확산될지 주목된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는 로봇산업 역량 강화를 위해 '협동로봇'을 통한 중소제조업 혁신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협동로봇이란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는 로봇이 아닌 인간 활동을 보조하고 협업하는 로봇으로 높은 안전성과 적용 편이성으로 향후 고성장이 전망되는 영역이다.
 
의료현장에서는 최근 대전 을지대병원이 도입한 자율주행 물류이동 로봇 '고카트' 등이 좋은 사례다.
 
산자부는 "통신사, 로봇기업, 연구기관 공동으로 인공지능(AI)-로봇 응용ㆍ산업화 추진단을 구성하고 로봇 탑재용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을 추진할 것"이라며 "로봇 연구ㆍ지원기관을 3개 권역별로 클러스터링해서 협의체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경남권에서는 로봇 융합, 수도권ㆍ충청권은 부품, 호남권은 의료·재활로봇 분야 협의체가 조성되는 방식이다.
 
이밖에 의료분야 서비스로봇의 상용화도 추진된다.
 
산자부 측은 "성장 잠재력이 큰 스마트홈, 의료·재활, 재난·안전, 무인이송, 농업용 로봇 등 5대 유망분야의 서비스로봇 상용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5대 분야별로 개발 수요 및 성장성이 높은 서비스로봇을 선정, 실적 확보를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스마트 의료기기 개발의 세부 추진전략에도 로봇 분야가 포함돼 있다. 산자부는 차후 병원과의 연계를 통한 AI-로봇-바이오 기술 융합 의료기기 개발 선점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는 기존 의료기기 고부가가치화 및 시장진출을 목표로 한다. 더불어 병원과 의료기기업체 및 유관기관이 연결될 수 있는 의료융합산업진흥재단(가칭) 설립을 통한 의료기기 상생협력 시스템도 구축 계획도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로봇의 확산을 저해하는 규제를 적극 개선하겠다"며 "안전방책 없이 인간과 협업할 수 있도록 '협동로봇 안전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의료, 소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의 기술개발과 확산을 저해하는 규제를 발굴해서 개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