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카드, 새로운 처방전달시스템 급부상
2000.09.20 13:27 댓글쓰기
스마트카드가 키오스크 등 웹방식에 이어 처방전달시스템의 새로운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20일 전산업계에 따르면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처방전달방식이 인프라 구축의 용의성, 벤치마킹 대상 확보, 보안성, 금융권 가세 등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급속히 확산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카드를 통한 전자처방전달사업을 추진중인 업체는 비트, 메디다스, 에이플러스, 힘스코리아 등 총 4개사이며 SK도 사업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스마트카드방식이 금융권의 가세로 저가공급이 가능하다는 점과 인프라구축이 용이하다는 점을 장점으로 꼽는다.

처방전달사업에 진출한 카드사는 LG카드(힘스), BC카드(에이프러스), 국민카드(메디다스), 삼성카드(비트) 등 굵직굵직한 카드사만 4개사에 이른다.

이에따라 스마트카드 및 단말기 공급 등 인프라 구축이 용이하다는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웹방식은 세계 최초로 실시돼 시행착오를 스스로 극복해야 했지만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처방전달시스템구축은 확실한 벤치마킹 대상이 있다는 측면이 강점으로 꼽힌다.

외국의 경우 터키는 스마트카드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이미 처방전달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터키는 전산데이터를 통한 의약품의 흐름, 담합금지, 의사의 리베이트 부분을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어 국내 스마트카드 확산의 벤치마킹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스마트카드의 확산 가능성의 또다른 배경으로는 결제기능으로 신용카드 사용를 장려하는 정부의 요구와 맞아떨어진다는 점이다.

정부는 터키의 예에서 처럼 처방전과 의약품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매력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계는 또 "유무선 처방전달시 처방전의 위변조 가능성 있어 환자정보가 유출 될 수 있고 담합가능성이 크다"며 분업정착시까지 이를 금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의료계도 스마트카드의 확산을 측면 지원하고 있는 모양새를 취하고 있다.

이같은 일련의 조건들이 충족되면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처방전달시스템의 확산전망을 밝게하고 있다.

그러나 확산이후 스마트카드 관련 특허권 문제가 야기되어 사용료 문제가 부각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과 사전예약조제가 불가능하다는 점, 신용카드 결제를 기피하는 병의원 및 약국의 관행 등이 확산의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산업계 관계자는 "스마트카드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업계가 처방입력 및 등록의 표준을 만들어 공동사업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며 "호환성을 갖지 못할 경우 이같은 장점에도 불구 시장 성공여부는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또 "제도적으로 신용카드 결제시 병의원 및 약국에 혜택을 주는 제도적 장치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