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난 포항선린병원 법정관리 촉각
잇단 내홍 직원 800명 중 50% 떠나…'고의 부도설 사실 아니다'
2015.08.03 20:00 댓글쓰기

‘부도설(說)’이 나돌고 있는 포항선린병원이 법정관리를 고려하는 등 회생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모습이다.

 

3일 안산의료재단 포항선린병원 관계자들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부도 및 법정관리에 대해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 자금 융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내부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일부 매체가 보도한 고의 부도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관계가 잘못됐다”며 반박했다.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포항선린병원은 1953년 6월 개원해 60여 년간 운영되고 있는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이다.

 

이 병원 경영난은 전(前) 이사장 채 모씨의 배임 횡령 및 이사회 경영권 다툼 등에서 비롯됐다.

 

병원 이사장이 여러차례 교체되고 이사들 간 다툼 및 법정 소송이 불거지면서,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한 내부 결의를 다지지 못했다.

 

병원 측 관계자는 “경영난의 원인을 하나로 꼽을 수 없다. 정치적인 문제, 자금 융통의 문제 등 예전부터 쌓였던 게 지금 터진 것 같다”고 말했다.

 

병원 노조 관계자는 “불과 1년 전만 해도 상황은 괜찮았다. 하지만 일련의 사안들로 인해 경영상 어려움이 생기면서 의사와 간호사들이 병원을 떠났고, 이후 적자 규모가 커져 한순간에 무너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병원이 회생 기회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회생 대안으로 재활요양병원 매각 논의도 제기돼왔으나 직원 및 노조에 대한 동의없이 진행된 밀실계약 논란 등 절차상 문제가 불거지면서 결국 무산됐다. 

 

병원을 매입하겠다는 외부 제안도 있었으나 이를 두고 이사진 내부뿐만 아니라 노조와 직원 간의 의견충돌이 있었다는 전언도 있다.

 

최근 '고의 부도설'이 나온 배경은 10억원대의 예금 통장이 있는데도, 어음 만기기한인 지난달 31일 병원이 5억원의 얍류금액을 은행 측에 지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병원 측은 “고의적인 부도 수순이 아니”라며 반박했다.

 

퇴사 및 재직한 직원들이 해당 통장에 대해 압류를 걸어둔 탓에, 부득이하게 해당 통장을 풀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는 설명이었다.

 

이 관계자는 “압류를 건 전·현직 직원들과 면담하여 조속히 압류를 풀어 자금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부 주장처럼 고의 부도가 맞다면 지난달 31일 4시 이후 부도가 결정됐어야 했는데, 현재 부도가 아니지 않느냐”며 “이 문제에 대해 병원이 은행과 논의했던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압류된 예금통장 문제 해결 여부가 병원의 운명을 좌우할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31일 병원 이사회는 이사 8명 중 7명이 참석한 가운데 김정치 전 이사장을 대신해 조대환 변호사를 새 이사장으로 선임했으며, 공석 중이던 병원장 자리에는 김용복 순환기 내과 과장을 임명했다.

 

신임 이사장 선임을 두고 이사회 시작 전 돌아간 이사 1명이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나, 병원장 임명을 둘러싼 잡음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측은 “법정관리 검토 역시 경영진이 일방적으로 추진하지 않고 병원 노조와 협의해 검토할 것”이라며 “조만간 공식입장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