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보의특별법 제정해서 처우 개선해야'
대한공중보건협의회 김지완 신임 회장 '새 매체 등 통해 회원 관심 제고'
2013.01.25 06:19 댓글쓰기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가 임의단체여서 공중보건의사 처우를 개선하는데 한계가 많았다. 공보의특별법 제정이나 직역협의회를 통해 개선해 나가겠다.”

 

지난 24일 제27대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 회장으로 당선된 김지완 후보는 공보의 처우 개선을 위해 공보의특별법 제정, 직역협의회 등록을 통해 실질적인 도움을 주겠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대공협에 대한 공보의들의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SNS 등 새로운 매체를 활용해 관심 및 참여를 제고하겠다”고 밝혔다.

 

김지완 회장은 “공보의 처우 개선을 위해 특히 중점을 두는 부분은 공보의특별법 제정과 대한의사협회 직역협의회 등록”이라며 “그동안은 공보의 처우 개선 이슈 관련해 입장을 표명하더라도 임의단체인 대공협 특성상 직접 도움을 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오히려 성명을 내려고 해도 ‘효과가 있겠나’, ‘문제만 일으키지 않겠느냐’는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다”며 “공보의 처우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단체 및 직역의 법적 지위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공보의들은 현재 병역 자원으로 분류되면서도 근무 및 관리는 보건소, 교도소 등 행정기관과 이뤄져 책임소재가 불분명하고 근무여건, 근무조건에서 제대로 된 대우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럼에도 공무원이라는 신분상 한계로 인해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의사협회 내에서도 직역협의회로 등록돼 있지 않아 입지가 약했다. 지난해에는 직역협의회 등록 요청이 유보되기도 했다.

 

김지완 회장은 “공보의가 현재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법에 따라 규정돼 각 기관에서 배치되면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다”며 “공보의특별법을 제정해 보건복지부에서 공보의를 관리할 수 있도록 일원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공보의특별법 제정과 직역협의회 등록은 이전 집행부에서부터 꾸준히 제기하던 공약이다. 김지완 회장은 “아무것도 없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면서도 “공보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회원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공보의 협의회에 대한 공보의들의 관심이 점점 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표적으로 공보의 회장 선거 참가자수를 보면 25대 회장 선거에서는 695명, 26대는 325명이 참여했지만 이번 27대에는 182명에 그쳤다.

 

25대에는 의ㆍ치ㆍ한이 분리되지 않은 점과 이번 투표에서 전산 장애가 있었다는 점을 고려해도 낮은 수치다.

 

김지완 회장은 “이번 투표에서 투표창이 잘 열리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면서도 “공보의 참여가 낮아 이를 개선하기 위해 SNS 등 새로운 매체를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은 회원연락망으로 이메일을 주로 활용했으나 반응이 늦고 전달도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며 “SNS나 문자 등으로 먼저 회원들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완 회장은 “대공협을 뒷받침하는 것은 회원의 참여”라며 “의사 사회 내에서도 목소리를 내려면 많은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27대 대공협은 현재 정책, 대외협력, 법제, 학술, 사회 등 5개 임원을 확정했고 2월 중순에 회의를 열어 구체적인 집행부 구성을 결정한다. 임기는 오는 3월부터 1년이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