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의료계 대상 '투 트랙' 전략
당 지도부는 총파업 때리고 국민건강특위는 대화 등 달래고
2014.03.04 20:00 댓글쓰기

6‧4 지방선거가 100일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터진 대한의사협회 파업 결정으로 새누리당의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다.

 

새누리당은 의사들의 파업이 표심에 영향을 미칠까 밖으로는 압박을, 안으로는 소통을 위한 핫라인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각기 역할을 분담해 의료계를 향해 투 트랙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의협이 파업 결정을 발표한 후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며 융단폭격을 퍼부었다.

 

민현주 새누리당 대변인은 2일 “집단휴진은 그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 될 수 없는 행위로, 의사협회는 그 계획을 즉시 철회해야 마땅하다”고 일갈했다.

 

박대출 대변인 역시 “의협은 원격진료 도입 등 의사 밥그릇 지키기 아닌 의료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의료산업 경쟁력 키우는 인술(仁術) 차원에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한 최경환 원내대표는 3일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의협이 일방적으로 합의문을 휴지조각으로 만들고 파업을 강행하는 것은 이중적이고 무책임한 모습이다. 국민건강과 생명을 볼모로 한 이기주의는 비판을 면치 못할 것이다”라며 모든 책임을 의협에 물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변화의 기류가 감지된 것은 같은 날 발표한 ‘대한의사협회의 집단휴진 투표결과에 대한 새누리당 국민건강특별위원회 성명서’였다.

 

이 성명서에는 이전과 같이 파업 철회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지만, 이전에 볼 수 없던 논의 제의가 포함돼 있었다.

 

성명서에서는 “진정 국민들의 건강을 생각하고, 회원들의 행복을 추구한다면 대한의사협회는 하루빨리 정치적 집단 휴진결정을 철회하고, 회의체 안으로 들어와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것을 촉구한다”며 의료계에 손을 내밀었다.

 

이후 새누리당은 4일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의협, 대한병원협회, 대한치과협회, 대한한의사협회, 대한약사회, 대한간호사협회 등과 간담회 자리를 마련했다.

 

그 자리를 주관한 것은 다름 아닌 새누리당 국민건강특별위원회 건강보험발전분과였다. 이날은 분과 제1차 회의이기도 했다.

 

간담회 자리에서 특위장 심재철 의원과 분과장 김현숙 의원은 기존 입장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은 건강보험 제도 하의 직능 별 애로사항을 '성의 있게' 들었다.

 

또한 간담회 후 40분 남짓 가진 비공개 회의에서 ‘핫라인’ 구축을 위한 포석을 깐 것으로 알려졌다. 파업 후 정부와의 관계가 냉각되더라도 훈풍을 불어넣을 수 있는 통로는 마련해 둬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더불어 국민건강특위의 또 다른 파트인 의료서비스발전분과 역시 다음 주 예정된 제2차 회의에서 의료계와 소통하는 자리를 준비하고 있다.

 

새누리당 복지위 관계자는 “파업이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칠 것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고 의협 측에서도 이를 무기로 삼고 있는 것으로 안다. 파업 철회를 바라지만 파업을 하더라도 관계를 회복시킬 수 있는 대화 채널 구축이 필요하고, 특위가 그 역할을 해줬으면 하는 것이 당의 생각이다”라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