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배후설 얼토당토-국민 위해 소신껏'
2011.01.28 21:48 댓글쓰기
5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가정상비약 약국 외 판매를 위한 시민연대(상임공동대표 조중근[사진])’가 지난 27일 국민권익위원회에 민원 청원, 향후 그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관심을 모은다.

대한약사회는 최근 의사단체가 한 언론에 ‘국민건강을 위한 시민연대(이하 국시연)’라는 시민단체의 이름을 통해 의약품 수퍼판매 허용관련 광고를 낸 것을 미뤄 자료까지 제시하며 의사단체 배후설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실제 민원청원을 주관한 ‘가정상비약 약국 외 판매를 위한 시민연대’ 조중근 상임공동대표는 “우리는 이해당사자들과는 무관하다”며 “우리가 다른 단체에 대해 논하는 것은 도리가 아닌 것 같다”고 역설했다.

실제 이번 민원청원을 한 50여개 시민단체에 ‘국시연’은 포함돼 있지 않다.

조중근 대표는 “다만 객관적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번 의약품 수퍼판매 허용관련 민원청원을 한 것이다”라고 소개했다.

이어 조 대표는 “국민들이 불편해하고 있는 사항을 시민단체 일원으로서 가만히 있을 수는 없었다”며 “오로지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했기에 이러한 단체 활동을 하게 된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처음 25개 단체가 시작한 것이 어느 덧 50여 단체로 늘어난건 그 만큼 국민들이 원하는 방향이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된 사례"라고 덧붙였다.

조 대표는 “실제 지난해 말 이러한 활동을 하면서 몸이 상당히 아팠던 적이 있었다”며 “다음날 주말이기 때문에 약국이 문을 닫아 근무 중에도 시간을 쪼개며 힘들게 약국에 갈 수 밖에 없었다”고 회상했다.

그는 또 “당번약국이나 심야응급약국이 있다는데 접하기가 쉽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조 대표는 “이러한 점들을 보면서 국민의 입장에서 문제제기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고 그 전부터 경실련의 주장이나 상공회의소와 소비자보호원이 제시한 자료들, 대통령의 발언 등 수 많은 곳에서 괜히 이런 말을 꺼낸 것은 아니지 않느냐”라고 강조했다.[사진 27일 민원청원]

이러한 문제는 그 흐름이 있고 이번 시점이 이슈가 되고 있는 만큼 민원청원을 낼 수 있었던 적절한 시기였다는 것이다.

조 대표는 “단발성 이벤트로 끝나버릴 수도 있었지만 국민을 위한 목표달성을 이루기 위해 공식적인 정부기관에 자료를 제시하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실제 조 대표는 “이번 민원청원뿐만 아니라 의약품 수퍼판매 허용과 관련한 내용의 공문을 복지부등 관련기관에 제출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조 대표는 현 단체의 역활론도 설명했다. 그는 “대한민국 NGO의 사명은 정부정책을 모니터링하고 국민 의견을 수렴, 그 의견을 제기하는 단체”라며 앞으로의 정책 추진방향에 대해 소개했다.

그는 이어 “단, 객관성을 둬야한다”며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말도 나오고 있는데 NGO 자체는 그런 것을 신경 안쓰고 다만 본래 해야 할 일을 이행하는 것일 뿐”이라고 못 박았다.

그리고 “NGO 활동은 NGO 활동으로만 봐줬으면 좋겠다”라는 당부의 말도 전했다.

이번 민원청원 이후 과정에 대해 조 대표는 “현 의약품 2분류를 3분류로 바꾸자는 차원에서 법 제도 개선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정해진 기간 의견수렴 등을 통해 어느 정도 절차가 이뤄질 것”이라며 “우호적인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이러한 의약품과 관계가 있는 약사나 의사를 떠나 이 약을 실제 복용하는 국민들의 시선이 중요하다”라며 “현재처럼 앞으로도 국민의 시선으로 상황들을 지켜보겠다”고 강조했다.

또 조 대표는 “혹시나 자신이 잘못하고 있는 것이 있다면 따끔하게 질책해 달라”며 “우리는 우리나라의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논리에 맞다고 판단이 되면 일관성 있게 나아갈 것이다”라고 피력했다.

그는 특히 “이 문제가 이해 당사자들 간 이권 다툼르로 비춰져서는 안된다”며 “오픈 마인드를 가져야 하고 설사 전문직에 있는 사람도 단체 내에 있다면 막을 이유는 없다. 시민단체에는 교수도 있고 여러 견문 넓은 사람들이 많은데 이들 모두 시민의 입장으로 상황을 지켜보고 사회에 공헌하고자 참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