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시민단체 vs 약사회 '입장차' 재확인
2011.02.08 09:50 댓글쓰기
일반의약품 수퍼판매와 관련, 이해 당사자 격인 단체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오늘(8일) 오후 2시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이 사안과 관련한 간담회 형식 비공개 토론회가 진행됐다.

이날 토론회에는 대한약사회 박인춘 부회장을 비롯해 경실련 정승준 위원과 김태현 국장, 대한의사협회 이재호 전문위원, 숙명여대 약대의 신현택 교수 등 핵심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공정위 주최로 진행된 이번 간담회에는 보건복지부는 참석하지 않았다. "복지부가 직접 주관하는 것이 아닌 만큼 논의 자체의 필요성이 없어 불참했다"는 것이 공정위측 설명이다.

약사회는 "수퍼판매 허용"을 요구하는 단체들과의 토론자리에 직접 참여한 것이 처음인 만큼 이날 토론 열기는 어느 때보다 뜨거웠다.

이번 간담회는 참석자간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공개 진행됐는데 토론 진행 중 다소 신경이 날카로운 발언도 이어졌다는 전언이다.

토론이 끝난 직후 대한의사협회 이재호 의무전문위원은 “주로 의약품 분류체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며 “의협 입장에서는 의약품의 분류 체계를 더 늘려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위원은 “일반의약품 자체가 오남용 위험성이 적고 부작용도 적은 만큼 최소한의 가정상비약 정도는 분류체계로 만들 수 있지 않나”라고 말했다.

또 이 위원은 “다른 단체의 경우 특별히 복약지도나 상담하는 것도 제대로 갖추지 못했고 그런 상황에서도 의약품 판매가 잘돼온 만큼 안전성 문제로 발목잡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입장을 피력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대한약사회 관계자는 부담을 느꼈는지 “비공개 토론인 만큼 특별히 말해 줄 부분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토론회를 마친 경실련 정승준 위원[사진]은 “국민이 원하는 것을 약사들이 단순히 잡고 있는 것 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국민 원하는 대로 하는 것이 경실련의 입장"이라고 수퍼판매 허용에 대한 강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정 위원은 그러면서 “우리는 분류체계를 어떻게 바꾸고 어떻게 정하자는 것이 아니다. 국민이 원하는 것은 분류체계가 아니라 중요한 것은 의약품을 약국외 판매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토론 진행 중 서로 신경전도 있었다”며 “그 동안 서로 이야기 해왔던 주장 그대로 얘기하고 나왔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특히 정 위원은 약사회 주장에 대해 “약사들은 이 것은 놓기 싫고 저 것은 갖고 싶어한다. 그리고 소비자 90%가 가정상비약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약품을 수퍼에서 판매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데 약국에서 사기가 어렵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상비약으로라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왜 모르는가”라며 일침했다.

그는 “그렇다고 가정상비약으로 약을 보관하면 유통기한은 어떻게 지킬 것인가. 1년, 2년이 지난 약들을 먹을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격앙된 심정을 내비쳤다.

이렇듯 신경전이 오가며 이뤄진 토론회는 전부터 결론은 나지 않을 것이라고 공정위에서 예고한 만큼 각기 주장하는 바를 발표하고 토론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