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수퍼판매 허용 Q&A
2011.01.06 14:48 댓글쓰기
일반의약품 수퍼판매 바람이 거세다. 이번에는 기존 분위기와는 온도 차이가 확연하다. 약사회가 '심야응급 약국' 카드까지 제시하며 총력 저지에 나서고 있지만 정계와 시민단체들까지 수퍼판매 허용을 외치고 있다. 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가정상비약 약국 외 판매' 기자회견에서도 분위기는 고조됐다. 일반약 수퍼판매. 왜 그리고 어떻게 허용돼야 하는지 일문일답을 통해 들여다 봤다.

일반약 수퍼판매 앞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반을 마련해야 한다. 어떤 구상을 하고 있는가?

“의약품을 약국 외에서 판매를 하면 아무나 구매할 수가 있어 문제가 있지 않느냐 라는 말이 나올 수 있는데 연령제한 등 앞으로 세부적인 논의를 해 미연에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또한 현재 수퍼판매 허용을 골자로 거론되는 약들은 어느정도 안전성이 검증돼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지금 당장 이 제도를 시행하자는 것이 아니다. 차근차근 안전장치를 검토해 시행해 나가자는 것이다.”

편의점에서 의약품을 판매해야 하는 이유는?

“2009년 말 현재 편의점 수가 14000개 정도인 것으로 나오고 있다. 그만큼 접근성은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OTC 제품이 15000개가 넘는데 24시간 영업을 하는 편의점에서 4개의 약품 정도만을 허용하자는 것이다. 해열제나 진통제 등 응급약품을 진열한다면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

“영국이나 독일 같은 경우에는 의약품이 3분류 체계가 된지 100년이 넘었다. 의약분업을 시행하고 있는 국가들 대부분 3분류 체계이며 전문의약품 만큼은 약국에서 판매를 하고 있다.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응급약을 밤 늦게나 새벽에도 살 수 있도록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편의점에서의 판매를 도모하자는 것이다.”

OTC 약품 중에서도 왜 일부만 하자는 것인가?

“그 만큼 안전성이 검토됐기 때문이다. 우리는 소화제나 진통제를 찾을 때 집에 있는 서랍부터 열어본다. 또한 더 아프면 그때 병원을 찾는 것이 보통의 상황이다. 그 만큼 일반 응급약품에 대해서는 편의성이 필요한 것이다.”

건강보험 재정은 어떤 측면이 있나?

“건강보험 재정이 1조 3천억 원 정도 적자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전체 큰 틀을 봤을 때 절감 효과도 있을 것이다.”

“최소한 국민의 자율선택권이 보장돼야 한다. 그 동안 제약사하고 약국에 의해서만 약값이 결정돼왔고 소비자 의견을 통해 약값이 결정된 바가 없기 때문에 한번 쯤 고려해봐야 할 부분이다.”

편의점에서 팔더라도 복약지도가 필요하지 않을까?

“일반의약품 중에서도 복약지도가 필요한 약들이 있다. 하지만 ‘박카스’나 ‘까스활명수’ 같은 약품은 굳이 복약지도가 필요한 품목은 아니다. 필요할 때 얼마든지 구입 가능해야 하는데 편의점에서 이를 판매하는 것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